외국인 채권자금 최대 유출...한은 "한미 금리차 때문 아냐"


외국인 채권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는 데 대해 한국은행은 한미 금리 역전이 원인으로 아니라고 주장했다.

손승화 한은 국제국 자본이동분석팀 과장은 3일 한은 블로그에 게시한 '최근 외국인 채권투자자금 유출 배경과 평가'라는 글에서 "외국인 채권투자자는 투자대상국의 금리, 경제성장 전망 및 환율 기대, 차익거래유인, 글로벌 위험선호 정도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 해당국 채권투자를 결정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외국인 채권자금은 지난 2020∼2021년 중 대규모 유입된 이후 지난해에도 연중 대체로 순유입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12월부터 해외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큰 폭의 순유출을 나타냈다.

채권자금 순유출 규모는 지난해 12월 27억3천만달러에 이어, 지난 1월에는 52억9천만달러까지 확대돼 한은이 집계를 시작한 1999년 4월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손 과장은 "일부에서 금리 역전이 채권자금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지 않는지 궁금해하고 있다"며 "한미 간 금리 역전은 이미 지난해 7월부터 발생했고, 그 격차가 최대 1.0∼1.25%포인트에서 변화해왔다"고 밝혔다.

손 과장에 따르면 이 기간에 채권자금이 일시 순유출되기도 했으나 민간자금을 중심으로 대체로 순유입됐고 12월 들어서야 유출 규모가 확대됐다.

특히 최근 채권자금 유출을 주도하고 있는 주체는 공공부문인데, 이들은 대체로 중장기 투자자로서 단기간의 금리차에 덜 민감한 편이다.

손 과장은 외국인이 현물 채권시장에서 상당 규모 순매도했으나, 국채 선물시장에서 이보다 더 큰 규모로 순매수했다는 점도 짚었다.

외국인은 주로 헤지펀드 등 단기투자자로서 채권금리 하락이나 상승 전망을 바탕으로 순매수 또는 순매도에 나서는 경향이 있다.

손 과장은 "1월 중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완화 기대 등으로 국내 채권금리 하락 기대가 형성되자 외국인이 국채선물 순매수를 크게 늘린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선물투자자의 행태는 단기적으로 내외금리차보다는 향후 금리의 향방이 채권투자에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외국인이 현물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순매도에 나선 것은 해외 공공기관의 투자 여력 감소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손 과장은 "지난해 연준의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글로벌 주가와 채권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주요국 국부펀드가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다"며 "해외 중앙은행과 국부펀드가 (이런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우리나라 채권 투자금 중 일부를 회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