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8일 예찰활동·감시, 내달 1일 포획, 2∼3일 중 '섬 밖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천연기념물 뿔쇠오리를 위협한다는 지적을 받는 마라도 길고양이 반출을 위한 사전 작업이 27일 시작됐다.

멸종위기 뿔쇠오리 위협 '마라도 길냥이' 반출 사전작업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이번 주 서귀포시 마라도 길고양이를 섬 밖으로 옮기기 위해 27∼28일 뿔쇠오리가 주로 나타나는 마라도 내 지역 등에서 예찰 활동과 집중적인 감시를 벌이며 뿔쇠오리 보호에 나선다.

이를 위해 세계유산본부 직원 5명이 이날 오전 여객선으로 제주 본섬에서 마라도에 들어가 뿔쇠오리 서식지 등을 관찰하는 감시하는 활동을 시작했다.

다음 달 1일에는 동물보호 단체 구조대와 장비 등이 바지선을 통해 추가 투입돼 본격적인 마라도 길고양이 포획 작업이 이뤄진다.

세계유산본부는 포획이 완료되면 기상 여건에 따라 다음 달 2일 또는 3일께 바지선으로 포획한 길고양이를 일시에 섬 밖으로 반출할 계획이다.

세계유산본부는 마라도에서 반출한 고양이를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검진해 건강에 이상이 있는 고양이의 경우 계속 치료하기로 했다.

세계유산본부는 건강 상태가 양호한 고양이부터 제주시 조천읍 세계유산본부 인근에 별도 마련한 시설에서 보호할 예정이다.

세계유산본부는 지난 17일 문화재청과 동물보호단체, 수의사, 교수 등 전문가와 함께 마라도를 방문해 길고양이 반출을 위한 주민 의견을 들었다.

이후 뿔쇠오리 보호를 위해 길고양이를 반출하자는 의견에 따라 섬 밖으로 내보내기로 결정했다.

멸종위기 뿔쇠오리 위협 '마라도 길냥이' 반출 사전작업
천연보호구역 마라도는 천연기념물 뿔쇠오리와 더불어 슴새 등 주요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이자 번식지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뿔쇠오리는 한국, 일본, 태평양 동북부에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5천∼6천 마리밖에 없을 정도로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 철새다.

도서 해안이나 섬 주변 암벽 또는 암초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며 번식기간은 2월 하순부터 5월 상순까지다.

하지만 마라도에서는 매년 뿔쇠오리 사체가 발견되고 있고 지난 24일 오전에도 마라도에서 고양이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뿔쇠오리 4마리의 사체가 발견됐다.

오홍식 제주대학교 교수팀은 마라도 내 길고양이 개체 수를 모니터링한 결과 60∼70마리로 추정했다.

또 지난해 5월 기준 서귀포시가 추산한 마라도 내 길고양이는 110여 마리에 달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