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무인기 동중국해 운용 급증…대만 유사시 상정 추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이 동중국해와 그 주변에서 무인기 운용을 크게 늘리면서 일본 항공자위대의 긴급발진(스크램블)도 잦아지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7일 보도했다.
항공자위대는 비행경로를 분석해 영공 침범 우려가 있을 때 긴급발진한다.
긴급발진은 2015년 9월부터 현재까지 총 15회였으며 이 가운데 80%인 12회가 2021년 8월 이후에 이뤄졌다.
중국 무인기를 대상으로 한 긴급발진은 2013년 9월이 처음이었으며 2019년과 2020년에는 0건이었다.
일본은 2017년 5월 중국 해경국 것으로 추정되는 소형 무인기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상공에 확인된 것 한 차례를 영공 침범으로 보고 있다.
일본이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센카쿠열도는 중일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이다.
하지만 중국이 대만 유사시를 상정한 군사훈련을 강화한 2021년 여름을 기점으로 양상이 달라졌다.
같은 해 8월과 지난해 7∼8월 공격형 무인기 TB-001이 동중국해에서 미야코지마와 오키나와 본섬 사이 해협을 지나 태평양으로 나갈 움직임을 보였다.
올해 1월에는 고고도에서 장시간 체공하는 정찰형 무인기 '우전(WZ)-7'의 태평양 진출도 처음으로 확인됐다.
일본 방위성 간부는 "동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무인기 비행은 근년 매일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요미우리는 "이런 비행은 대만 유사시 등을 겨냥한 중국군의 구상인 '반접근·지역거부(A2/AD, 적의 접근 또는 육해공 지역 점령을 차단하는 개념)'와 부합한다"며 "미 함선 등에 대해 TB-001은 미사일 공격, WZ-7은 추적을 상정해 훈련을 시행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고 소개했다.
일본은 중국의 무인기 운용이 대만 유사시를 염두에 둔 움직임으로 보고 영공 침범 시 무기 사용 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책 강화에 나섰다.
방위성은 2019년 이후 3차례 영공을 침범한 정찰풍선을 중국의 정찰기구로 추정하고, 기구나 무인기가 영공을 침범하는 경우를 대비해 자위대의 무기 사용 기준을 완화함에 따라 정당방위 등에 해당하지 않아도 격추할 수 있도록 했다.
/연합뉴스
항공자위대는 비행경로를 분석해 영공 침범 우려가 있을 때 긴급발진한다.
긴급발진은 2015년 9월부터 현재까지 총 15회였으며 이 가운데 80%인 12회가 2021년 8월 이후에 이뤄졌다.
중국 무인기를 대상으로 한 긴급발진은 2013년 9월이 처음이었으며 2019년과 2020년에는 0건이었다.
일본은 2017년 5월 중국 해경국 것으로 추정되는 소형 무인기가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상공에 확인된 것 한 차례를 영공 침범으로 보고 있다.
일본이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센카쿠열도는 중일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이다.
하지만 중국이 대만 유사시를 상정한 군사훈련을 강화한 2021년 여름을 기점으로 양상이 달라졌다.
같은 해 8월과 지난해 7∼8월 공격형 무인기 TB-001이 동중국해에서 미야코지마와 오키나와 본섬 사이 해협을 지나 태평양으로 나갈 움직임을 보였다.
올해 1월에는 고고도에서 장시간 체공하는 정찰형 무인기 '우전(WZ)-7'의 태평양 진출도 처음으로 확인됐다.
일본 방위성 간부는 "동중국해 상공에서 중국 무인기 비행은 근년 매일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요미우리는 "이런 비행은 대만 유사시 등을 겨냥한 중국군의 구상인 '반접근·지역거부(A2/AD, 적의 접근 또는 육해공 지역 점령을 차단하는 개념)'와 부합한다"며 "미 함선 등에 대해 TB-001은 미사일 공격, WZ-7은 추적을 상정해 훈련을 시행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고 소개했다.
일본은 중국의 무인기 운용이 대만 유사시를 염두에 둔 움직임으로 보고 영공 침범 시 무기 사용 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책 강화에 나섰다.
방위성은 2019년 이후 3차례 영공을 침범한 정찰풍선을 중국의 정찰기구로 추정하고, 기구나 무인기가 영공을 침범하는 경우를 대비해 자위대의 무기 사용 기준을 완화함에 따라 정당방위 등에 해당하지 않아도 격추할 수 있도록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