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당국, 은행들에 '코인업체 예치금 대규모 인출 가능성' 경고
미국 금융당국이 일선 은행에 가상화폐 업체들의 예치금이 대규모로 인출될 가능성 등 유동성 위험에 대비하도록 새로운 경고를 내놨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롯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와 통화감독청(OCC)이 공동으로 이러한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 따르면 은행들은 가상화폐 업체의 예치금을 다룰 때 실질적인 위험성 평가를 해야 한다.

해당 업체에 대해 강력한 자산 실사와 모니터링을 하고, 정기적 스트레스 테스트(손실 가능 금액 측정) 때 이들 예치금의 변동 가능성도 들여봐야 한다.

당국은 특히 대규모 유출에 취약할 수 있는 자금으로 코인업체가 맡긴 고객 자금뿐만 아니라 스테이블 코인의 가격 안정을 위한 예치금을 꼽았다.

당국이 변동성 확대를 염두에 두고 스테이블 코인 관련 예치금에 발생할 수 있는 취약성을 강조한 것은 처음이라는 게 로이터 평가다.

스테이블 코인은 코인 가치를 달러 등 실물자산에 고정(연동)되도록 설계해 일반 가상화폐보다 안정적이라는 점을 내세워 성장했는데, 지난해 5월 한국산 스테이블 코인 테라USD(UST) 폭락으로 전체 스테이블 코인 시장이 위축된 바 있다.

테더 등 다수의 스테이블 코인은 실물자산으로 코인 가치를 뒷받침하며 코인업체는 이러한 실물자산을 은행 예치금 등으로 보관한다.

그런 만큼 시장 혼란 상황에서 다수의 고객이 돈을 찾기 위해 업체에 몰리면 '뱅크런'(대규모 자금 인출)이 발생할 수 있다.

업체가 자금 마련을 위해 보유자산을 급하게 처분할 경우 투자자 손실뿐만 아니라 미국 국채 가격 등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코인 업계에서는 지난해 11월 거대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파산하면서 코인 가격이 급락하기도 했는데, 당국은 최근 가상화폐 분야의 사건들로 인해 유동성 위험이 부각됐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이번 성명을 통해 은행들에 새로운 요구 조건이 부과된 것은 아니고 특정 부문과의 거래가 금지된 것은 아니라면서도, 당국이 최근 연이어 가상화폐 관련 거래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는 가운데 성명이 나왔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