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도둑 맞은 기분"…돌아온 존 리, 인생 2막 꿈꾼다 [인터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존 리 전 메리츠운용 대표 인터뷰
신간 <존 리, 새로운 10년의 시작>으로 복귀
"9년 바쳤는데 하루사이 파렴치한 됐다"
파주서 가족캠프 시작…금융문맹 해소 목표
신간 <존 리, 새로운 10년의 시작>으로 복귀
"9년 바쳤는데 하루사이 파렴치한 됐다"
파주서 가족캠프 시작…금융문맹 해소 목표
"인터넷 기사들이 제 이름으로 도배되던 작년 6월은 끔찍한 악몽이었어요. 매일, 타고 가던 비행기가 추락하는 듯한 느낌을 겪었달까요. 회사를 알리는 데 무려 9년을 바쳤는데 하루아침에 제가 그 브랜드를 망친 사람으로 둔갑했더라고요. 아내 계좌를 이용해 불법 투자를 했다면서요. 급기야는 금융업에 발을 들인 30년의 세월을 송두리째 도둑 맞은 기분이 들었죠."
존 리 전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는 작년 차명투자 의혹이 불거지며 자리에서 물러났다. 후임들의 탄생으로 가치투자 1세대들의 시대가 저물고는 있었지만, 누구도 이런 식의 이른 퇴장을 예상하진 못했다.
월가에서 스타매니저로 활약하던 존 리 전 대표는 2013년 말 메리츠자운용의 새 수장으로 합류해 '메리츠코리아펀드' 등을 중심으로 운용 규모를 키웠다. 매스컴에서 수많은 주식투자 명언을 쏟아내며 연예인급 인기를 누리던 그였다. 하지만 취임 약 10년 만인 지금 그는 무소속이고 회사는 국내 행동주의 사모펀드에 팔렸다.
최근 출간한 책 <존 리, 새로운 10년의 시작>에서 존 리 전 대표는 메리츠자산운용에서의 경험을 정리하고 향후 10년의 계획을 담았다. 그의 사임을 즈음해 줄곧 따라다녔던 질문 '차명투자 의혹에 대한 심경은 어떤가', '회사를 왜 물러났나' 등에 대한 답도 풀어냈다. <한경닷컴>은 지난 15일 서울 남산동 한국국제금융연수원에서 존 리 전 대표를 만났다. 언론에 얼굴을 드러낸 것은 논란 이후 8개월여 만이다.
그동안 큰 변화 중 하나가 대중의 수식어가 달라진 것이다. 존 리 전 대표를 수식하던 '존봉준'(전봉준+존 리)이나 '동학개미운동 선봉장' 등의 키워드들은 어느새 '차명투자 의혹', '불명예 퇴진' 등이 대체했다. 아직 차명투자 의혹에 대한 금융당국의 처분이 나오지 않은 만큼 '등판 시점이 너무 이르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입장을 묻는 기자에게 존 리 전 대표는 "차명계좌란 게 존재하지도 않고 불법투자도 한 적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첫 보도가 나온 뒤로 본인 확인을 거치지 않은 기사들이 쏟아졌다. 억울한 입장을 설명해도 바뀌는 것은 없었고, 주변에선 '괜히 논란만 더 만들지 말고 가만히 있으라'고 만류했다"면서 잘못을 인정해 자진사퇴한 게 아니라고 해명했다.
존 리 전 대표는 이제 어떤 행보를 보여줄까. '미국으로 다시 넘어가는 것 아니냐'는 소문이 무성했지만 결국 그는 한국에 자리잡기로 했다. 현재로선 다시 자산운용사를 차리거나 금융권에 취업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대신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시절부터 실천해온 '찾아가는 강연'의 판을 키워보겠단 생각이 크다고 말했다. 전 국민을 '금융문맹'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존 리 전 대표는 앞으로의 10년을 '다음 세대를 위한 금융교육'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아직 우리나라 금융시장엔 애로가 많다. 그는 한국의 경제대국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금융교육', '창업정신', '여성인력 활용' 등 세 가지의 부재를 꼽았다. 그는 "국민 대부분의 금융 이해도가 낮아 조기 금융교육이 요원한 일이 된 데다, 이른바 '국영수'만 강조되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사고를 할 기회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창업정신도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여성 금융인의 부재에 대해선 "이들이 제대로 대우받지도, 활용되지도 못하는 사회가 유지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라며 "여성인력의 활용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유연하고 변화에 강할 뿐 아니라 수익성도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여성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과 의식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구조적 문제이지만 여성들도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그는 "흔히들 남성들과 경쟁해서 이겨야만 임원이 된다고 생각하는데, 왜 직접 금융회사를 창업할 생각은 하지 못하는가"라며 "미래를 그릴 때 보다 적극적이고 담대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올 들어 반등세를 보이고 있는 증시에 대한 조언도 내놓았다. '커피값 아껴 주식 하라'는 지론은 여전히 유효했다. 그는 "코스피지수가 2500도 안 되는 지금 한국 주식 중엔 여전히 탐나는 값싼 주식들이 많다. 타이밍에 투자하려들지 말고 소액으로 꾸준히 나눠 투자하라"며 "적립식 연금저축 펀드라든가 지수 추종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하면 좋다"고 말했다. 덧붙여 "최근에는 행동주의 펀드들에 의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나 인수합병(M&A)의 조짐이 있는 종목들을 관심있게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인터뷰를 끝내기 전 존 리 전 대표는 기사에 꼭 담아달라며 말을 남겼다. "한국인의 90%가 배당소득과 같은 금융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어요. 우리 국민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금융자산을 갖게 하는 게 제 소원입니다. 앞으로 10년간 많은 사람의 경제독립과 더불어 우리나라를 금융강국으로 만들기 위해 제가 할 일을 생각하면 벌써 가슴이 벅차올라요. 이젠 '한국 금융교육의 선봉자'란 새로운 수식어로 불리고 싶어요."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존 리 전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는 작년 차명투자 의혹이 불거지며 자리에서 물러났다. 후임들의 탄생으로 가치투자 1세대들의 시대가 저물고는 있었지만, 누구도 이런 식의 이른 퇴장을 예상하진 못했다.
월가에서 스타매니저로 활약하던 존 리 전 대표는 2013년 말 메리츠자운용의 새 수장으로 합류해 '메리츠코리아펀드' 등을 중심으로 운용 규모를 키웠다. 매스컴에서 수많은 주식투자 명언을 쏟아내며 연예인급 인기를 누리던 그였다. 하지만 취임 약 10년 만인 지금 그는 무소속이고 회사는 국내 행동주의 사모펀드에 팔렸다.
최근 출간한 책 <존 리, 새로운 10년의 시작>에서 존 리 전 대표는 메리츠자산운용에서의 경험을 정리하고 향후 10년의 계획을 담았다. 그의 사임을 즈음해 줄곧 따라다녔던 질문 '차명투자 의혹에 대한 심경은 어떤가', '회사를 왜 물러났나' 등에 대한 답도 풀어냈다. <한경닷컴>은 지난 15일 서울 남산동 한국국제금융연수원에서 존 리 전 대표를 만났다. 언론에 얼굴을 드러낸 것은 논란 이후 8개월여 만이다.
"30년 평판 무너지는 것 한순간…차명투자 사실 아냐"
그동안 큰 변화 중 하나가 대중의 수식어가 달라진 것이다. 존 리 전 대표를 수식하던 '존봉준'(전봉준+존 리)이나 '동학개미운동 선봉장' 등의 키워드들은 어느새 '차명투자 의혹', '불명예 퇴진' 등이 대체했다. 아직 차명투자 의혹에 대한 금융당국의 처분이 나오지 않은 만큼 '등판 시점이 너무 이르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입장을 묻는 기자에게 존 리 전 대표는 "차명계좌란 게 존재하지도 않고 불법투자도 한 적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첫 보도가 나온 뒤로 본인 확인을 거치지 않은 기사들이 쏟아졌다. 억울한 입장을 설명해도 바뀌는 것은 없었고, 주변에선 '괜히 논란만 더 만들지 말고 가만히 있으라'고 만류했다"면서 잘못을 인정해 자진사퇴한 게 아니라고 해명했다.
존 리 전 대표는 이제 어떤 행보를 보여줄까. '미국으로 다시 넘어가는 것 아니냐'는 소문이 무성했지만 결국 그는 한국에 자리잡기로 했다. 현재로선 다시 자산운용사를 차리거나 금융권에 취업할 생각은 없다고 했다. 대신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시절부터 실천해온 '찾아가는 강연'의 판을 키워보겠단 생각이 크다고 말했다. 전 국민을 '금융문맹' 상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인생 2막 대주제는 금융문맹 해소…"벌써부터 벅차"
이를 위한 첫 프로젝트로 최근 금융교육 프로그램인 '존 리의 부자학교'를 시작했다. 경기 파주시의 '영어마을'을 대관해 주 단위로 1박 2일 캠프를 진행하고 있다. 독특한 점은 가족 단위가 참여하는 '패밀리 캠프'란 점이다. "개개인이 부자가 되려고 노력하는 것보다 가족 구성원 전체가 한마음이 돼 시도하는 게 훨씬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존 리 전 대표는 설명했다. 취지가 이렇다보니 며느리와 시아버지, 신혼부부, 아버지와 초등학생 아들 등이 함께 찾아 금융교육을 받고 갔다. 존 리 전 대표는 비수도권 거주자, 금융소외자들을 주된 타깃으로 한 프로그램들도 운영하기 시작했다. 어린이 대상의 '코리아 퓨처 빌리어네어 클럽'을 비롯해 '직장인 투자 교실', '주부 투자 교실' 등의 오프라인 정기 강연들이다.존 리 전 대표는 앞으로의 10년을 '다음 세대를 위한 금융교육'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아직 우리나라 금융시장엔 애로가 많다. 그는 한국의 경제대국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금융교육', '창업정신', '여성인력 활용' 등 세 가지의 부재를 꼽았다. 그는 "국민 대부분의 금융 이해도가 낮아 조기 금융교육이 요원한 일이 된 데다, 이른바 '국영수'만 강조되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사고를 할 기회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창업정신도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여성 금융인의 부재에 대해선 "이들이 제대로 대우받지도, 활용되지도 못하는 사회가 유지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라며 "여성인력의 활용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유연하고 변화에 강할 뿐 아니라 수익성도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여성의 역할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과 의식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구조적 문제이지만 여성들도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그는 "흔히들 남성들과 경쟁해서 이겨야만 임원이 된다고 생각하는데, 왜 직접 금융회사를 창업할 생각은 하지 못하는가"라며 "미래를 그릴 때 보다 적극적이고 담대해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올 들어 반등세를 보이고 있는 증시에 대한 조언도 내놓았다. '커피값 아껴 주식 하라'는 지론은 여전히 유효했다. 그는 "코스피지수가 2500도 안 되는 지금 한국 주식 중엔 여전히 탐나는 값싼 주식들이 많다. 타이밍에 투자하려들지 말고 소액으로 꾸준히 나눠 투자하라"며 "적립식 연금저축 펀드라든가 지수 추종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하면 좋다"고 말했다. 덧붙여 "최근에는 행동주의 펀드들에 의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나 인수합병(M&A)의 조짐이 있는 종목들을 관심있게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인터뷰를 끝내기 전 존 리 전 대표는 기사에 꼭 담아달라며 말을 남겼다. "한국인의 90%가 배당소득과 같은 금융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어요. 우리 국민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금융자산을 갖게 하는 게 제 소원입니다. 앞으로 10년간 많은 사람의 경제독립과 더불어 우리나라를 금융강국으로 만들기 위해 제가 할 일을 생각하면 벌써 가슴이 벅차올라요. 이젠 '한국 금융교육의 선봉자'란 새로운 수식어로 불리고 싶어요."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