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구 DGIST 교수팀, 구리-그래핀 나노선 대량합성 기술 세계 최초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성능 투명-유연 전자소자를 제작 성공
이윤구 DGIST 에너지공학과 이윤구 교수(왼쪽)와 김종윤 석박사통합과정생. DGIST제공
DGIST(총장 국양) 에너지공학과 이윤구 교수 연구팀이 섬광을 이용하여 구리-그래핀 나노선을 저원가 대량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의 투명-유연 전자소자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 반투명 태양전지 및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 차세대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투명하고 유연한 전자소자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투명-유연 전극 소재들은 귀금속과 같은 값비싼 원재료 및 복잡한 공정 기술을 사용하거나, 저품질로 인한 낮은 성능과 내구성 등으로 제품에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점들을 보였다.
차세대 투명-유연 전극 소재로 주목받는 구리 나노선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나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낮아 상용화에 많은 제약이 있다. 반면에, 그래핀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으로 주목받는 소재이나, 고품질의 그래핀은 진공 장비 활용이 필수여서 생산 단가가 높고 대량 합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윤구 DGIST 교수 연구팀은 구리 나노선 표면에 강력한 섬광을 비추어 그래핀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고품질 투명-유연 전극 소재의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 속도를 높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해당 기술은 다양한 2차원 소재도 활용이 가능하고, 향후 다양한 종류의 금속-2차원 소재 나노선 합성으로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구리-그래핀 나노선을 활용하여 투명-유연 전극, 투명 슈퍼커패시터, 투명 히터 등의 고성능 투명-유연 전자소자를 구현해 해당 소재의 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T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고품질 구리-그래핀 나노선 기반의 차세대 투명-유연 전극 소재의 저원가 대량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향후 해당 기술이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반투명 태양전지 등 고성능 투명-유연 전자소자용 핵심 전극 소재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경묵 기자
DGIST(총장 국양) 에너지공학과 이윤구 교수 연구팀이 섬광을 이용하여 구리-그래핀 나노선을 저원가 대량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고성능의 투명-유연 전자소자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 반투명 태양전지 및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 차세대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투명하고 유연한 전자소자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투명-유연 전극 소재들은 귀금속과 같은 값비싼 원재료 및 복잡한 공정 기술을 사용하거나, 저품질로 인한 낮은 성능과 내구성 등으로 제품에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점들을 보였다.
차세대 투명-유연 전극 소재로 주목받는 구리 나노선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나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낮아 상용화에 많은 제약이 있다. 반면에, 그래핀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으로 주목받는 소재이나, 고품질의 그래핀은 진공 장비 활용이 필수여서 생산 단가가 높고 대량 합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윤구 DGIST 교수 연구팀은 구리 나노선 표면에 강력한 섬광을 비추어 그래핀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고품질 투명-유연 전극 소재의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 속도를 높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해당 기술은 다양한 2차원 소재도 활용이 가능하고, 향후 다양한 종류의 금속-2차원 소재 나노선 합성으로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구리-그래핀 나노선을 활용하여 투명-유연 전극, 투명 슈퍼커패시터, 투명 히터 등의 고성능 투명-유연 전자소자를 구현해 해당 소재의 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T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고품질 구리-그래핀 나노선 기반의 차세대 투명-유연 전극 소재의 저원가 대량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향후 해당 기술이 투명 디스플레이 또는 반투명 태양전지 등 고성능 투명-유연 전자소자용 핵심 전극 소재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