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고 어려워" 광주 대형병원들 필수진료과 전공의 미달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아과·산부인과·흉부외과·비뇨의학과 기피…내과만 정원 채워
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의사 부족이 매년 심화하는 가운데 올해도 광주지역 대형종합병원들의 전공의(레지던트) 미달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광주 소재 전공의 수련병원 3곳(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광주기독병원)에 따르면 올해 전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이들 세 병원의 소아청소년과 정원 9명 중 2명만 충원됐다.
전남대병원의 경우 정원 2명을 채웠지만, 1∼4년 차 전체 인원 16명 중 6명만 근무 중이다.
지원자가 없는 조선대병원은 조만간 4년 차가 떠나면 정원 8명 중 3명만 유지되고, 광주기독병원도 12명 중 3명만 남을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 충원에 어려움이 이어지면서 지역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정원 중 3분의 1밖에 없는 상황이고, 소아응급진료를 하는 곳도 전남대병원 한 곳뿐이다.
산부인과도 사정은 비슷하다.
전남대병원은 정원 5명을 채우기는 했지만, 조선대병원(정원 1명에 지원자 0명)과 광주기독병원은 오랜 전공의 부족으로 정원을 늘리지도 못했고 배정받지도 못해 의사가 부족한 것은 마찬가지다.
생명과 직결된 필수 진료과목이라고 불리우는 내과·소아청소년과·외과·흉부외과·산부인과·비뇨의학과 중 내과를 제외한 대부분 과에서 이같은 전공의 기피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이들 필수 진료과목의 경우 병원마다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경우가 속출했다.
외과의 경우 조선대병원은 정원 4명을 채웠지만, 전남대병원은 정원 5명에 2명만 뽑았다.
흉부외과는 정원 3명인 전남대병원이 2명 선발에 그쳤다.
비뇨의학과는 정원이 2명뿐인 전남대병원은 2명을 뽑았지만, 조선대병원은 14명 모집에 9명만 선발했다.
내과만 전남대병원 17명(정원 17명), 조선대병원 5명(정원 6명), 광주기독병원 2명(2명)으로, 대부분 정원을 채웠다.
이들 병원은 오는 9월 후반기 모집에서 전반기 미달 인원과 중도 포기로 인한 결원을 채울 계획이지만 최근 추세로 볼 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수련 업무를 한 경험이 있는 한 병원 관계자는 "전반기에 희망하는 과를 못 간 인턴들이 다른 과를 선택하기보다는 재수를 택한다"며 "장기적으로 이들 진료과의 처우, 환경을 개선하는 것 외에는 병원에서 지원을 독려할 뾰족한 해법이 없다"고 말했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소위 '안·영·재'로 불리는 안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와 정형외과, 피부과 등 인기 학과 지원 쏠림 현상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또 진료수가가 낮고 중증·응급 환자를 다루거나 의료소송 등에 휘말릴 위험이 높은 과들은 기피하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공공정책 수가' 도입 방안에 대해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회의적인 반응이 일선 의료진들에게서 나왔다.
광주의 한 소아과 전문의는 "소아과는 진료 시간이 더 길고 보조 인력도 더 필요하다"며 "하지만 검사나 수술 비중이 현저히 낮고 진료 행위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기본 진료수가를 조정하지 않는 이상 어려움을 감수하려는 의사들이 더 적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외과 전문의는 "미래 의사들에게 사명감만 강요할 수는 없다.
중증 환자를 치료, 수술하는 과는 지나친 소송 위험을 안지 않도록 특례법을 제정하고 '3분 진료'를 개선할 수 있도록 수가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일 광주 소재 전공의 수련병원 3곳(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광주기독병원)에 따르면 올해 전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이들 세 병원의 소아청소년과 정원 9명 중 2명만 충원됐다.
전남대병원의 경우 정원 2명을 채웠지만, 1∼4년 차 전체 인원 16명 중 6명만 근무 중이다.
지원자가 없는 조선대병원은 조만간 4년 차가 떠나면 정원 8명 중 3명만 유지되고, 광주기독병원도 12명 중 3명만 남을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 충원에 어려움이 이어지면서 지역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정원 중 3분의 1밖에 없는 상황이고, 소아응급진료를 하는 곳도 전남대병원 한 곳뿐이다.
산부인과도 사정은 비슷하다.
전남대병원은 정원 5명을 채우기는 했지만, 조선대병원(정원 1명에 지원자 0명)과 광주기독병원은 오랜 전공의 부족으로 정원을 늘리지도 못했고 배정받지도 못해 의사가 부족한 것은 마찬가지다.
생명과 직결된 필수 진료과목이라고 불리우는 내과·소아청소년과·외과·흉부외과·산부인과·비뇨의학과 중 내과를 제외한 대부분 과에서 이같은 전공의 기피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이들 필수 진료과목의 경우 병원마다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경우가 속출했다.
외과의 경우 조선대병원은 정원 4명을 채웠지만, 전남대병원은 정원 5명에 2명만 뽑았다.
흉부외과는 정원 3명인 전남대병원이 2명 선발에 그쳤다.
비뇨의학과는 정원이 2명뿐인 전남대병원은 2명을 뽑았지만, 조선대병원은 14명 모집에 9명만 선발했다.
내과만 전남대병원 17명(정원 17명), 조선대병원 5명(정원 6명), 광주기독병원 2명(2명)으로, 대부분 정원을 채웠다.
이들 병원은 오는 9월 후반기 모집에서 전반기 미달 인원과 중도 포기로 인한 결원을 채울 계획이지만 최근 추세로 볼 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수련 업무를 한 경험이 있는 한 병원 관계자는 "전반기에 희망하는 과를 못 간 인턴들이 다른 과를 선택하기보다는 재수를 택한다"며 "장기적으로 이들 진료과의 처우, 환경을 개선하는 것 외에는 병원에서 지원을 독려할 뾰족한 해법이 없다"고 말했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소위 '안·영·재'로 불리는 안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와 정형외과, 피부과 등 인기 학과 지원 쏠림 현상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또 진료수가가 낮고 중증·응급 환자를 다루거나 의료소송 등에 휘말릴 위험이 높은 과들은 기피하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공공정책 수가' 도입 방안에 대해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회의적인 반응이 일선 의료진들에게서 나왔다.
광주의 한 소아과 전문의는 "소아과는 진료 시간이 더 길고 보조 인력도 더 필요하다"며 "하지만 검사나 수술 비중이 현저히 낮고 진료 행위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기본 진료수가를 조정하지 않는 이상 어려움을 감수하려는 의사들이 더 적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외과 전문의는 "미래 의사들에게 사명감만 강요할 수는 없다.
중증 환자를 치료, 수술하는 과는 지나친 소송 위험을 안지 않도록 특례법을 제정하고 '3분 진료'를 개선할 수 있도록 수가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