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올해 韓 성장률 전망치 1.7%로 또 낮춰…세계전망은 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경제 전망치 세 차례 연속 하향 조정..."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올해 세계 성장률 2.7→2.9%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7%로 0.3%포인트 내렸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대한 기대감에 경제 성장률은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잡았지만 우리나라는 또다시 전망치를 낮춘 것이다.
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세계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하고 1월과 7월에는 수정 전망치를 내놓는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전망치(2.0%)에서 0.3%포인트 내린 수치다.
지난해 7월 전망 당시 올해 한국 성장률을 2.9%에서 2.1%로, 10월에는 2.1%에서 2.0%로 끌어내린 데 이어 세 차례 연속 성장률을 내려잡으며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계속 낮추고 있는 것이다.
IMF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 낮고 한국은행(1.7%)과는 같다. 또한 정부(1.6%),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보다는 높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도 2.7%에서 2.6%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다만 한국 성장률 조정 근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이에 반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국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지만,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예상 대비 견조한 소비와 투자 등 영향에 지난해 10월 전망보다 성장률 전망치를 다소 높인 것이다.
IMF는 올해 미국 성장률을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중국은 4.4%에서 5.2%로 0.8%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다만 IMF는 글로벌 경기의 하방 위험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 등에 따른 경제회복 제약과 부동산업 위기가 심화할 수 있는 점이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또한 러시아 전쟁과 중국의 경기회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노동시장 경직성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수 있다고도 봤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 등도 위험 요소로 거론됐다.
IMF는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근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식량·에너지 취약층에 대한 선별지원을 강화하되 광범위한 재정 지원은 축소하는 등 점진적인 재정 긴축으로 통화정책 부담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최근 몇년간 주택가격이 급등한 지역에 대해 모니터링과 스트레스 테스트 시행해야 하며 비은행금융 부문 관리 감독 강화와 가상자산 관련 기준 마련 등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대한 기대감에 경제 성장률은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잡았지만 우리나라는 또다시 전망치를 낮춘 것이다.
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세계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하고 1월과 7월에는 수정 전망치를 내놓는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전망치(2.0%)에서 0.3%포인트 내린 수치다.
지난해 7월 전망 당시 올해 한국 성장률을 2.9%에서 2.1%로, 10월에는 2.1%에서 2.0%로 끌어내린 데 이어 세 차례 연속 성장률을 내려잡으며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계속 낮추고 있는 것이다.
IMF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 낮고 한국은행(1.7%)과는 같다. 또한 정부(1.6%),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보다는 높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도 2.7%에서 2.6%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다만 한국 성장률 조정 근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이에 반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국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지만,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예상 대비 견조한 소비와 투자 등 영향에 지난해 10월 전망보다 성장률 전망치를 다소 높인 것이다.
IMF는 올해 미국 성장률을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중국은 4.4%에서 5.2%로 0.8%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다만 IMF는 글로벌 경기의 하방 위험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 등에 따른 경제회복 제약과 부동산업 위기가 심화할 수 있는 점이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또한 러시아 전쟁과 중국의 경기회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노동시장 경직성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수 있다고도 봤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 등도 위험 요소로 거론됐다.
IMF는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근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식량·에너지 취약층에 대한 선별지원을 강화하되 광범위한 재정 지원은 축소하는 등 점진적인 재정 긴축으로 통화정책 부담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권고했다.
아울러 최근 몇년간 주택가격이 급등한 지역에 대해 모니터링과 스트레스 테스트 시행해야 하며 비은행금융 부문 관리 감독 강화와 가상자산 관련 기준 마련 등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