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에 상당한 비용…예산 확보가 관건

최근 미국 지구관측 위성이 한반도에 추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던 것을 계기로 정부가 레이다 장비 도입 등을 통해 우주물체 감시 인프라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이 방안이 실현된다면 우리나라도 미국 등 우주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우주 물체 감시 역량을 갖출 수 있다.

과기정통부, 우주물체 감시 인프라에 레이다 장비 도입 검토
과학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레이다 장비를 포함한 국내 우주 물체 감시 인프라 구축 사업을 기획할 계획이다.

내년에 이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신청해 예산을 확보하고 2025년에 감시 인프라 장비를 실제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레이다 장비는 구축에 상당한 비용이 들지만, 효과적인 우주물체 감시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설비로, 미국 등 우주 선진국에서 운영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우주물체 감시 장비로는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 '아울-넷'(OWL-Net)이 있다.

광학장비인 아울넷은 저고도부터 고고도, 소행성까지 우주물체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최근에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다트(DART) 탐사선이 소행성 다이모르포스와 충돌해 소행성 표면에서 먼지가 분출하는 모습을 관측하기도 했다.

하지만, 광학장비는 날씨의 영향을 받으며 우주 물체를 선제적으로 탐지하기보다는 이미 알려진 물체의 궤도를 추적하는 데 활용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그간 미국이 레이다 장비 등을 통해 파악한 우주물체의 궤도 정보를 받아서 아울-넷을 활용해 정해진 궤도를 우주 물체가 지나치고 있는지 파악하는 정도로만 우주 감시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반면 레이다 장비는 넓은 관측 범위에서 여러 개의 우주물체에 대한 다중 탐색과 추적이 가능하고 날씨의 영향을 덜 받으며, 위성에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지 등을 감시할 수 있다.

다만 구축에 상당한 비용이 든다고 한다.

과학계 관계자는 "레이다 장비와 광학 장비는 비교가 안 되는 장비"라며 "그간 레이다 장비 도입을 위해 노력해왔으나 예산 등의 이유로 미뤄져 왔다"고 말했다.

이어 "레이다 장비가 도입되면 우리 스스로 관측해서 우주물체 추락 예측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