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해결 앞으로도 긴밀히 소통"…日상응조치 거론 여부도 관심
한일 외교장관 통화…공식화한 韓징용해법 의견교환 주목(종합)
박진 외교부 장관이 13일 미국을 방문 중인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통화하고 일제 강제징용 문제 등 한일 간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두 장관은 한일관계 발전 및 제반 현안 해결을 위해 앞으로도 외교당국 간 각급에서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통화는 한국 정부가 공개 토론회를 열고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결 방향을 사실상 공개한 다음 날 이뤄져 눈길을 끈다.

한국 정부는 전날 토론회에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징용 피해자들이 일본 피고 기업 대신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으로부터 판결금을 변제받는 것이 가능하다며 '제3자 변제' 해법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이에 대한 박 장관의 설명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도통신도 "하야시 외무상이 박 장관으로부터 일본 기업의 배상을 한국 재단이 대신하는 한국 측의 해결책에 관해 설명을 들은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하야시 외무상이 일본이 검토하고 있는 '호응 조치'를 거론했을지도 관심이다.

한국이 제3자 변제를 추진할 때 관건은 일본이 이에 호응해 판결금 변제를 위한 재원 조성에 참여하고 강제징용 행위에 대해 사죄할 것이냐다.

전날 일본 언론에서는 일부 상응조치 가능성이 거론되기도 했다.

교도통신은 한국 측이 구상권을 포기한다면 일본 기업이 재단에 기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일본 정부 내에서 부상 중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총리관저의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검토하는 재단을 통한 대납에 대해 "현실적"이라고 평가하는 등 한국의 해법 공식화를 계기로 한일 간 입장 접근이 이뤄지는 듯한 모습도 나타났다.

한편 신년 인사를 겸해 이뤄진 이날 통화에서 두 장관은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두 장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지하고 도발 시 강력하게 대응하기 위해 한일·한미일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하야시 대신은 지난달 28일 한국이 발표한 첫 독자적 인도·태평양 전략을 평가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