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CES 2023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CES 공식 개막을 하루 앞두고 전 세계 기업들이 기술 동향과 사업 방향을 발표했다고 하는데요.

국내 대표 가전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최악의 불황을 이겨낼 제품 전략을 공개했다고 합니다. 양현주 기자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CES 공식 개막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기업들이 하나둘 핵심 전략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 가전업체 삼성전자와 LG전자도 오늘 각각 미디어 초청행사를 열고 2023년 핵심 제품과 전략을 선보였습니다.

먼저 두 기업의 공통점은 '초연결성'에 있습니다.

경기침체로 가전 판매가 줄어들면서 수요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으로 기기 간 연결을 화두로 꺼내든 겁니다.

특히,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미디어데이에서 "연결을 통해 모두의 꿈과 바람이 담긴 기술을 현실로 구현하는 것이 궁극적 비전"이라고 말하며 또 한 번 연결성을 강조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실제 연결성과 개인 맞춤형을 극대화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을 미디어 행사에서 선보였습니다.

스마트싱스 앱에 미리 다양한 기기들의 동작을 설정하면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의 버튼 하나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취침 시 버튼을 눌러 침실과 TV 조명이 꺼지게 만들 수 있는 겁니다.

또한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자체 제품뿐만 아니라 구글, 아마존 제품과도 연동되는 '매터' 규격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140억 개에 달하는 다양한 커넥티드 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집안 곳곳에 연결된 기기를 네오QLED TV로 한눈에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3D 맵 뷰' 기능도 지원합니다.

LG전자 역시 'LG씽큐' 앱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씽큐앱을 통해 이용자 취향에 맞게 제품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UP가전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무드업 냉장고 등 UP가전의 경우 원하는 색상, 서비스를 이용자들이 원하는 취향에 맞춰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도 교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LG전자는 현재까지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식기세척기 등 총 24종의 업가전을 선보였고, 120개 이상의 업그레이드 콘텐츠를 배포했습니다.

여기에 LG전자는 올레드 10주년을 맞아 초프리미엄 제품인 시그니처 올레드M을 이날 처음 공개했습니다. 해당 제품의 경우 고화질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기를 통해 TV의 선을 없앤 게 특징입니다.

<앵커>

제품 컨셉의 경우 두 회사 모두 공통으로 '연결성'을 강조했는데, 마케팅 방향에는 차이가 있었다고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친환경'과 '포트폴리오 확장'이라는 방향성을 내세웠습니다.

먼저 삼성전자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신환경전략을 이루기 위해 반도체 부문의 경우 2027년까지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또한 삼성전자가 연결성을 높인 기기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업계 표준을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LG전자는 포트폴리오 확장을 내세웠습니다. AI, 6G 등 핵심 기술을 위한 투자도 늘리는 동시에 전기차 충전, 디지털 헬스, 웹 OS 기반의 콘텐츠 서비스 등 많은 영역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는 겁니다.

LG전자는 지난 2020년 말부터 CSO 부문에 LG NOVA를 신설해 글로벌 스타트업들과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CES 2023에서 LG전자가 공개하는 제품 중에는 사내 독립 회사가 만든 수면 케어 서비스 '브리즈'가 포함됐습니다.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이용자 경험을 확장하는 동시에 신가전을 통해 수익성을 확대한다는 전략입니다.

이제 내일이면 본격적으로 CES가 개막합니다. CES 관련 소식, 생방송 이 시간에 더 자세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한국경제TV 양현주입니다.


양현주기자 hjyang@wowtv.co.kr
불황 뚫는 가전 전략…삼성·LG "초연결성 극대화" [CE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