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놀이터·경로당 없고 주차·공원·학교 시설도 크게 부족
시 "도시계획 조례 고쳐 내년 1월부터 상업지역 오피스텔 억제"

수도권 주택난 해소를 위해 1990년대 초에 조성된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에서 오피스텔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서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일산동구 오피스텔 주거 전국 1위…소음·조망권 침해로 몸살
30일 시에 따르면 일산동구 주택 유형 가운데 오피스텔이 차지하는 비중이 17.1%로 전국 행정구역 가운데 가장 높다.

오피스텔은 주택법상 준주택으로 분류되지만, 실상은 대부분 주거용으로 사용돼 심야 소음과 조망권 침해 등 각종 부작용을 낳고 있다.

고밀도로 개발된 탓에 어린이놀이터와 경로당이 없고 도로와 주차장, 공원, 학교 등 시설이 부족해 입주자는 물론, 인근 주민도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오피스텔 난립 현상은 일산동구뿐만 아니라 시 전체로 확산해 도시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최대 컨벤션 센터인 킨텍스 주변에도 오피스텔이 밀집된 탓에 국제회의 지원 시설이 거의 없다.

지하철 3호선 대화역과 백석역 주변에도 오피스텔이 빽빽이 건립됐고 삼송역 역세권 상업지역은 상업시설 대신 고층 오피스텔이 차지했다.

그 결과 지난해 시 전체 오피스텔 주거 비율이 9%로 전국 평균 3.4%를 압도했고 서울(5.7%)과 경기(4.2%)에 비해서도 매우 높다.

일산동구 오피스텔 주거 전국 1위…소음·조망권 침해로 몸살
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업지역 오피스텔 입지 규제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기로 했다.

상업지역 주거용 건축물이라도 용적률을 일반 주거지역과 같거나 낮게 적용하도록 조례를 고쳐 다음 달 시의회 심의를 거쳐 이르면 내년 1월 시행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 오피스텔 용적률을 낮추면 재산권 침해나 도심 공동화 등이 우려되지만 임계치에 다다른 폐해를 생각하면 조례 개정을 더는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