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농업학교 수용소 방문 촬영 후 미 육군성 정보국 등에 보고
미 대사관 외교관·군사고문단, 한국전쟁 직전 제주 시찰
제주4·3 추가진상 조사단, 미국 현지서 관련 보고서 입수

제주4·3 당시 미군이 제주도민 수용소를 방문해 촬영한 사진이 포함된 미 육군성 정보국 보고서가 새롭게 확인됐다.

1948년 미군 촬영 제주4·3 수용자 사진 발굴…미성년자도 포함
29일 제주4·3평화재단에 따르면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위원회' 추가 진상조사 분과위원회의 조사단은 미국 현지에서 1948년 6월 미군이 제주농업학교 수용소를 방문해 촬영한 사진이 미 극동사령부와 워싱턴의 미 육군성 정보국에 보고됐음을 알려주는 보고서를 입수해 최근 위원회에 보고했다.

미 육군성 정보국은 도민이 수용된 제주농업학교 수용소 촬영 사진을 통해 당시 수용자 중 중학생 등 미성년자들이 포함돼 있고, 수용시설 방역 물자 등이 미군정청에 의해 지급된 것임을 파악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고 조사단은 전했다.

또 한국전쟁 직전인 1950년 6월 12∼13일 미 대사관 외교관과 해군 무관, 미 군사고문단 장교들이 제주를 시찰했던 사실을 확인했다.

당시 시찰에 나선 미 대사관 외교관과 미 군사고문단 장교들은 김충희 도지사와 신현준 해병대 사령관, 제주법원 관계자 등과 회의를 하고 '앞으로도 정기적인 시찰을 통해 군의 사기를 진작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권고문을 작성했다.

조사단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 중인 1천715건, 1만3천334장의 문서, 사진, 항공사진, 지도 등을 수집했다.

1948년 미군 촬영 제주4·3 수용자 사진 발굴…미성년자도 포함
조사단은 또 대전과 성남의 국가 기록원 조사를 통해 1945년∼1949년 제주지검에서 작성된 수형인 명표철과 제주를 본적지로 하는 김천교도소 수형인명부(1950년), 제주지검 수형인명부(1950∼1953년), 재소자인명부 등을 입수했다.

조사단은 "이들 기록물에는 전국의 수형인들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어 행방불명된 4·3 희생자들의 피해 실태 파악과 행적을 가늠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조사단은 2천700여 건의 신규 자료를 발굴하고 국가기록원에 자료 송부를 요청했다.

제주4·3평화재단은 앞으로도 국가기록원, 경찰청, 해군(해병대) 등 관련 기관 방문 조사, 미국, 호주 등 주요 관련 국가의 문서 및 기록물 수집을 위한 현지 조사 계획을 수립해 추가되는 자료를 발굴하고 분석할 예정이다.

정부 차원의 추가 진상조사는 2021년 3월 개정된 제주4·3특별법에 따라 22년 만에 이뤄지게 됐다.

진상조사 보고서 작성 실무는 제주4·3평화재단이 수행하고 있다.

제주4·3 추가 진상조사 보고서는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2024년까지 국회에 보고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