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尹대통령 연내 방일 가능성에 "구체적 논의 없어"(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내 방일 가능성' 주일대사 언급에 신중 반응…브리핑선 "들은 바 없어"
대통령실은 27일 윤덕민 주일대사가 일본 언론과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연내 방일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 일단 거리를 두며 신중한 모습이다.
한일 관계의 최대 뇌관인 강제징용 배상 해결에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정치적으로도 파장이 적지 않은 대통령의 방일 문제를 놓고 대통령실이 섣불리 언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의 연내 방일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다"며 윤 대사 발언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도 "지나가면 될 사안"이라며 크게 무게를 두지 않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앞서 윤 대사는 전날 교도통신 인터뷰에서 "셔틀 외교가 생각한 것보다 이른 시일 내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국제정세가 급격히 변하는 점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이 연내 방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양국이 윤 대통령의 내달 방일을 물밑 조율 중인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왔으나, 대통령실은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일본 방문 관련해서는 아직 들은 바가 없다는 말씀만 드리겠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게 없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대통령실도 한일관계 복원을 위한 정상급 소통, 특히 2011년 12월 교토회담 이후 중단된 정상간 셔틀외교 재개의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9월 유엔총회, 이달 중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양자·소다자 회담을 여는 등 다자회의를 계기로 '소통' 경험을 차곡차곡 축적해 왔다.
다만 연말까지 불과 한 달 남은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방일 가능성을 타진하기에는 아직 여건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다는 게 정부 내 판단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도 아직 타결이 임박했다고 볼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24일 도쿄에서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한일 국장급 협의 이후 "일부에서 연내 (해결방안) 발표 가능성을 말하는데 좀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기시다 총리가 내각의 '사퇴 도미노' 속 국가안보전략 문서 개정, 추경예산안 등 현안이 산적해 있어 윤 대통령을 흔쾌히 맞이할 대내 여건을 갖췄는지도 불투명하다.
다만 일각에서는 막판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양국 정상이 '톱다운'(Top-down)식으로 갈등현안 해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윤 대통령의 이번 동남아 순방 전까지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관측됐던 한일·한중정상회담은 아세안 및 주요 20개국(G20) 현장에서 개최된 바 있다.
/연합뉴스
한일 관계의 최대 뇌관인 강제징용 배상 해결에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정치적으로도 파장이 적지 않은 대통령의 방일 문제를 놓고 대통령실이 섣불리 언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의 연내 방일 계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않다"며 윤 대사 발언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도 "지나가면 될 사안"이라며 크게 무게를 두지 않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
앞서 윤 대사는 전날 교도통신 인터뷰에서 "셔틀 외교가 생각한 것보다 이른 시일 내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국제정세가 급격히 변하는 점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이 연내 방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양국이 윤 대통령의 내달 방일을 물밑 조율 중인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왔으나, 대통령실은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일본 방문 관련해서는 아직 들은 바가 없다는 말씀만 드리겠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게 없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대통령실도 한일관계 복원을 위한 정상급 소통, 특히 2011년 12월 교토회담 이후 중단된 정상간 셔틀외교 재개의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9월 유엔총회, 이달 중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양자·소다자 회담을 여는 등 다자회의를 계기로 '소통' 경험을 차곡차곡 축적해 왔다.
다만 연말까지 불과 한 달 남은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방일 가능성을 타진하기에는 아직 여건이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다는 게 정부 내 판단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도 아직 타결이 임박했다고 볼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24일 도쿄에서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한일 국장급 협의 이후 "일부에서 연내 (해결방안) 발표 가능성을 말하는데 좀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한 바 있다.
기시다 총리가 내각의 '사퇴 도미노' 속 국가안보전략 문서 개정, 추경예산안 등 현안이 산적해 있어 윤 대통령을 흔쾌히 맞이할 대내 여건을 갖췄는지도 불투명하다.
다만 일각에서는 막판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양국 정상이 '톱다운'(Top-down)식으로 갈등현안 해결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윤 대통령의 이번 동남아 순방 전까지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관측됐던 한일·한중정상회담은 아세안 및 주요 20개국(G20) 현장에서 개최된 바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