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5개 자치구 쓰레기 각자 처리해야"…마포구 반발 지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폐기물 전처리시설 가동 현장 공개…"모든 구에 설치해 소각량 줄이면 돼"
서울의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폐기물 소각장) 후보지로 상암동이 선정돼 발표된 이후 마포구의 반발과 저항이 이어지고 있다.
마포구 주민들은 지난달 서울시의 후보지 선정과 관련한 주민설명회 개최를 단체행동으로 저지했다.
또 마포구청은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을 모든 자치구에 설치해 서울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각할 폐기물량을 줄이면 기존 소각장 처리 용량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어 소각장을 더 지을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이를 직접 실증해 보이겠다며 17일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가동 현장을 언론에 공개했다.
상암동 청소차고지에 전처리시설 일부를 임시로 설치하고 관내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 5t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줬다.
전처리시설은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기에 앞서 종량제봉투를 분쇄·선별해 재활용할 수 있는 금속·플라스틱·폐비닐 등을 분리한다.
최종 소각 폐기물을 감량하는 시설이다.
박 구청장은 현장에서 "소각과 매립이라는 일방적인 폐기물 처리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해치는 후진적인 방식"이라며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일반쓰레기 배출을 감량한다면 신규 소각장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고 말했다.
실증에 동원된 기계는 폐기물의 연소를 방해하는 수분, 흙 등을 털어내는 기능을 했다.
기계가 가동되자 종량제봉투가 굉음과 함께 터져나갔고, 찢긴 봉투와 함께 안에 있던 내용물이 미리 마련된 수거함으로 쏟아졌다.
폐기물에 묻어있던 물기와 흙 등은 아래로 따로 배출됐다.
5t가량이었던 폐기물이 흙과 수분을 제거하자 4.35t으로 줄었다.
전처리 기계를 지원한 폐기물 자원화 전문기업 씨아이에코텍의 윤현표 전무는 "생활폐기물의 50∼60%가량은 시멘트 공장에서 연료로 사용하는 등 재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구청장은 18일에도 보도자료를 내고 "실증을 통해 올바른 분리배출과 전처리시설의 활용으로 소각 대상 쓰레기를 대폭 감량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며 "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에 맞게 모든 자치구에 전처리시설을 설치한다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마포구는 페트병 재활용을 활성화하고자 ▲ 모든 페트병 무색·투명 제작 ▲ 재활용품 선별장 내 투명페트병 전용 선별시설 설치 의무화 ▲ 투명페트병도 회수 시 보증금 지급 등 방안을 환경부에 건의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올해 8월 하루 1천t의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신규 자원회수시설 후보지로 상암동을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해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2026년 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 내 생활폐기물 직접 매립이 금지되면서 소각 용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 신규 시설을 건립하려는 것이다.
서울에서 나오는 생활폐기물(재활용·음식물 제외)은 2020년 기준 하루 평균 3천265t이다.
이 가운데 29%(949t)가량을 인천의 수도권매립지에 보낸다.
이는 서울시 내 광역자원회수시설 4곳(마포·양천·노원·강남)의 소각 용량이 부족해 처리하지 못하는 물량이다.
/연합뉴스
마포구 주민들은 지난달 서울시의 후보지 선정과 관련한 주민설명회 개최를 단체행동으로 저지했다.
또 마포구청은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을 모든 자치구에 설치해 서울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각할 폐기물량을 줄이면 기존 소각장 처리 용량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어 소각장을 더 지을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이를 직접 실증해 보이겠다며 17일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가동 현장을 언론에 공개했다.
상암동 청소차고지에 전처리시설 일부를 임시로 설치하고 관내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 5t을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줬다.
전처리시설은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기에 앞서 종량제봉투를 분쇄·선별해 재활용할 수 있는 금속·플라스틱·폐비닐 등을 분리한다.
최종 소각 폐기물을 감량하는 시설이다.
박 구청장은 현장에서 "소각과 매립이라는 일방적인 폐기물 처리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해치는 후진적인 방식"이라며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일반쓰레기 배출을 감량한다면 신규 소각장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고 말했다.
실증에 동원된 기계는 폐기물의 연소를 방해하는 수분, 흙 등을 털어내는 기능을 했다.
기계가 가동되자 종량제봉투가 굉음과 함께 터져나갔고, 찢긴 봉투와 함께 안에 있던 내용물이 미리 마련된 수거함으로 쏟아졌다.
폐기물에 묻어있던 물기와 흙 등은 아래로 따로 배출됐다.
5t가량이었던 폐기물이 흙과 수분을 제거하자 4.35t으로 줄었다.
전처리 기계를 지원한 폐기물 자원화 전문기업 씨아이에코텍의 윤현표 전무는 "생활폐기물의 50∼60%가량은 시멘트 공장에서 연료로 사용하는 등 재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구청장은 18일에도 보도자료를 내고 "실증을 통해 올바른 분리배출과 전처리시설의 활용으로 소각 대상 쓰레기를 대폭 감량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며 "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에 맞게 모든 자치구에 전처리시설을 설치한다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마포구는 페트병 재활용을 활성화하고자 ▲ 모든 페트병 무색·투명 제작 ▲ 재활용품 선별장 내 투명페트병 전용 선별시설 설치 의무화 ▲ 투명페트병도 회수 시 보증금 지급 등 방안을 환경부에 건의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올해 8월 하루 1천t의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신규 자원회수시설 후보지로 상암동을 선정해 발표했다.
지난해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2026년 1월 1일부터 수도권매립지 내 생활폐기물 직접 매립이 금지되면서 소각 용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 신규 시설을 건립하려는 것이다.
서울에서 나오는 생활폐기물(재활용·음식물 제외)은 2020년 기준 하루 평균 3천265t이다.
이 가운데 29%(949t)가량을 인천의 수도권매립지에 보낸다.
이는 서울시 내 광역자원회수시설 4곳(마포·양천·노원·강남)의 소각 용량이 부족해 처리하지 못하는 물량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