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리다 자택에 언론 초청…주변 만류에도 '마이웨이' 고집
입지 축소·경쟁자 부상에 예고대로 출마하며 기선제압 포석

중간선거 고전 책임론에도…트럼프 15일 대선출마선언 강행 예고
미국 공화당이 중간선거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책임론에 휩싸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2024년 대선 도전 발표를 강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 주변에서도 발표 시점을 연기해야 한다는 권유가 나왔으나 이를 거부하고 '마이웨이'를 고수하고 나선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 동부시간 15일 오후 9시 플로리다주에 있는 마러라고 자택에서 진행되는 '매우 큰 발표'에 언론을 초청했다고 AFP통신 등이 14일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 고문 중 한 명인 제이슨 밀러는 "그(트럼프)는 대선 출마 선언을 할 것"이라면서 "그의 연설은 매우 전문적이고 절제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만약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출마 선언을 한다면 세 번째 대권 도전이 된다.

2016년 대선에 도전해 예상을 뒤엎고 승리한 그는 2020년 대선에서 재선 도전에 나섰으나 실패했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간선거 지원유세를 다니면서 대선 재도전 가능성을 시사하다 중간선거 전날인 7일에는 "15일 플로리다 팜비치에 있는 자택 마러라고에서 매우 큰 발표를 하겠다"며 출마 선언을 예고했다.

당시에는 공화당이 중간선거에서 크게 이길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실제 개표 결과 상원은 민주당이 수성했고, 하원의 경우도 공화당이 근소한 의석수로 다수당이 될 것으로 예측되는 등 공화당의 성적표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지한 메메트 오즈(필라델피아), 애덤 렉설트(네바다) 상원의원 후보 등이 잇따라 패배하고 하원 및 주 단위 선거 후보들도 고전한 것이 공화당이 패배에 가까운 성적표를 거둔 이유로 지목되면서 당내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선거패배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화당 선거 승리로 조성된 정치적 모멘텀을 활용해 대선 레이스를 치고 나가려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애초 전략에 차질이 생겼다.

트럼프 전 대통령 주변에서도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다음 달 조지아주 상원 결선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연기할 경우 정치적 타격을 인정하는 모양이 되기 때문에 결국 출마를 강행하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내 입지가 축소되는 것과 맞물려 잠재적인 경쟁자들의 움직임을 견제하기 위한 차원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간선거 고전 책임론에도…트럼프 15일 대선출마선언 강행 예고
실제 이번 중간선거에서 두 자릿수 득표차로 크게 승리하며 재선에 성공한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차기 공화당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제쳤다는 여론조사가 전날 발표되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 유세 중에 디샌티스 주지사를 '믿음이 두터운 체하다'는 단어를 써 '론 디생크터모니어스(DeSanctimonious)'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출마시 "심하게 다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견제하기도 했다.

또 디샌티스 주지사가 대선에 출마할 것이냐는 질문에 명확히 부인을 안하자 10일 "충성 측면에서 정답이 아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또 다른 대선 '잠룡'인 글렌 영킨 버지니아 주지사에 대해서도 '영 킨'이 중국어처럼 들리지 않느냐고 조롱하면서 "내가 없었으면 버지니아에서 못 이겼을 것"이라면서 견제했다.

영킨 주지사는 지난해 11월 보궐선거에서 주지사에 당선됐으며 공화당 내에서는 이번 중간선거와 대비해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면적으로 선거 지원을 하지 않은 것이 승리 요인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 밖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출마 강행 배경으로는 사법 리스크도 거론된다.

그는 1·6 의사당 폭당 사태 사주 의혹, 조지아주에서 선거 결과를 바꾸도록 압박한 선거개입 의혹, 기밀문서 유출 의혹 등으로 수사·조사를 받고 있는데 대선 출마를 통해 이를 정면 돌파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돈다.

다만 사법 리스크의 현실화 가능성 등을 이유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출마를 해도 경선을 완주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을 하는 언론도 일부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