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폴리에스터 증설 등 1조 투자…그린 소재 세계 1위 목표
3분기 별도기준 매출 3천265억원·영업이익 345억원
SK케미칼 "에코 트랜지션 전략으로 2030년 매출 2조6천억원"(종합)
SK케미칼이 '에코 트랜지션'을 통해 2030년 그린소재 관련 매출 2조6천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SK케미칼 전광현 사장은 7일 판교 본사에서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업 설명회를 열고 3분기 실적과 함께 화학적 재활용, 바이오 소재, 그린 에너지로 화학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한다는 중장기 에코 트랜지션 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전 사장은 "코폴리에스터 생산능력 확대와 화학적 재활용 글로벌 인프라 구축, 신규 바이오 소재 개발 등에 1조원 이상 투자를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2030년 세계 1위 코폴리에스터 생산업체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코폴리에스터는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 검출 우려가 없는 소재로, 투명하고 가벼우며 강도가 강해 화장품 용기와 전자부품·건축자재·광학필름 등 생활용품부터 산업재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전 사장은 "핵심사업인 코폴리에스터 생산능력을 2030년까지 50% 이상 확대할 계획"이라며 "세계시장 상황과 외부환경을 고려해 최적의 투자시기와 장소를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K케미칼은 또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리사이클 플라스틱 시장 수요에 대응해 2030년 리사이클 플라스틱 판매 비중 10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화이트 바이오 사업 밸류체인(가치사슬) 확대도 추진한다.

화이트 바이오는 식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이나 미생물·효소 등을 활용해 기존 화학·에너지 산업의 소재를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전 사장은 "올해 가동을 시작한 바이오 폴리올 에코트리온 생산을 시작으로 고유연 생분해 소재 및 바이오 탄성소재 등 새로운 바이오 소재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에코 트랜지션 전략을 추진해 지난해 약 9천억원 규모의 화학사업 매출을 2025년 1조5천억원, 2030년까지 2조6천억원 규모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회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를 제외한 SK케미칼의 3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3천265억원, 영업이익은 34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96% 증가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도 코폴리에스터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의 영향으로 3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 갔다고 SK케미칼은 설명했다.

SK케미칼의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4천325억원, 영업이익은 497억원을 기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