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핏, AI 뇌영상 분석 기술 및 뇌질환 예측 연구성과 발표
뉴로핏은 제10회 자기공명국제학술대회(ICMRI 2022)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뇌 영상 분석 기술 및 뇌질환 예측 방법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발표 주제는 각각 ‘인지 기능 장애 바이오마커로 활용되는 뇌 나이 예측에 대한 새로운 방법’과 ‘뇌 영상 분석을 통한 AI 기반의 3년 내 인지 기능 저하 예측 모델 개발’이다.

뉴로핏은 뇌 나이를 기반으로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 발생 정도를 확률적 수치로 제공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또 AI로 자기공명영상(MRI)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을 분석해, 향후 3년 안에 인지기능 저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확률 모델을 개발했다.

회사는 AI 영상 분석 기술로 알츠하이머병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A)-타우(T)-신경퇴행(N)-혈관성신경병리(V)’를 정량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매의 종류와 단계를 찾는 ‘ATNV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뉴로핏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진행된 비대면 강의를 통해 2건의 연구 발표도 진행했다. 강의 주제는 각각 ‘뇌 영상과 뇌 노화: AI 및 뇌 영상 분석에 대한 연구’와 ‘치매 연구의 예후 예측, 병기 구분, 분석에 대한 정량적 접근법’이다.

빈준길 뉴로핏 대표는 “뉴로핏이 연구 중인 치매 예후 예측, 병기 구분, 분석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공개했고 학술대회 참석자들이 큰 관심과 호응을 보였다”며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연구 개발 및 기술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