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 때까지…미 선거·우크라전 탓 도발수위 상승"
"ICBM 어차피 계속 실험…핵무장론·日개헌론 불붙일 수도"
외신 "북한의 잇따른 도발, 전형적 미국 관심끌기용"
북한이 연일 미사일 발사 등 무력시위를 벌이는 데 대해 외신들은 "전형적인 미국 관심끌기용"이라고 평가하고, 북한이 핵실험 등 도발 수위를 더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은 군사도발의 표면적인 이유로 한미 연합훈련을 들지만 결국 미국을 협상장에 앉히려는 목적이 깔려 있으며, 응답을 받을 때까지 계속 과감한 도발을 할 것이라는 게 외신들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영국 방송 BBC는 3일 "북한은 일부러 주변국과의 긴장을 고조시킨다"라며 "이런 도발에는 정치적인 목적이 깔려 있는데, 북한은 앞서 2010년과 2017년에도 그렇게 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갈등을 위험한 수준까지 고조시켜 한국과 일본, 미국 등의 관심을 끌고는 협상에 나서 제재 완화 등 양보를 끌어내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AP통신도 "북한의 매뉴얼은 전통적으로 미국이 관심을 보일 때까지 도발 수위를 끌어올리고 협상 테이블에 나오게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미국이 선거철인데다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미국과 다른 서방 국가들에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어서 도발 수위는 예전보다 더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AP는 전했다.

외신 "북한의 잇따른 도발, 전형적 미국 관심끌기용"
BBC는 북한이 핵실험이나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태평양으로 발사하는 수준까지 도발 수위를 높일 수 있다는 전문가 분석을 전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북한의 최근 잇따른 미사일 발사는 서방이 핵 위협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잇단 미사일 발사는 북한이 2017년 이후 첫 핵실험을 할 개연성을 높이고 있으며, 북한은 이를 통해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으려 한다는 것이다.

북한이 정치적인 목적 외에 순수하게 무기 실험을 한 측면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날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 발사한 것으로 관측되는데, BBC는 북한이 아직 ICBM의 대기권 재진입 등 핵심 기술을 완성하지 못했기에 계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북한이 핵탄두를 실어 미국 본토까지 날릴 수 있는 ICBM을 개발해야 미국을 겁먹게 하고 협상장에 나오게 할 수 있기에 어차피 미사일 개발을 멈출 수 없다는 것이다.

외신 "북한의 잇따른 도발, 전형적 미국 관심끌기용"
하지만 미국이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 등 다른 일이 많아 목적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고, 오히려 한국과 일본의 무장 강화만 유도해 얻어가는 것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AP는 최근 북한의 도발 때문에 한국에서 자체 핵무기 확보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BBC는 북한의 도발은 일본 우익의 평화헌법 수정과 재무장에 도움만 주게 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