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 학생독립운동기념일 맞아 공개
독립운동 참여 학생 2천596명 학적부 확인…유공자 포상 추진
국가보훈처는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전국 60개교 학생 2천596명의 학적부를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보훈처가 제93주년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인 이날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독립운동 참가 학생은 지역별로 경남이 14개교 987명으로 가장 많고 전남 7개교 758명, 서울 16개교 285명, 충북 3개교 235명, 전북 8개교 172명, 강원 2개교 93명 등이었다.

징계 유형별로는 퇴학이 1천33명으로 가장 많고 무기정학 565명, 유기정학 483명, 훈계 199명, 무기근신 197명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 90명, 부산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현 동래고) 727명, 부산제2상업학교(현 개성고) 253명, 광주공립보통고등학교(현 광주제일고) 281건, 광주공립농업학교(현 광주자연과학고) 150명 등의 기록이 파악됐다.

특히 연희전문학교 학적부에서는 처음으로 '함흥학생사건'에 학생들이 참여한 기록이 나왔다.

이는 함흥지역 학생들이 비밀단체를 만들어 일제 통치를 비판하고 민족주의 관철에 힘쓴 사건이다.

연희전문 한 학생의 학적부에는 '1941년 9월, 함흥학생사건으로 함흥경찰서에서 문초를 받아 퇴학시키기로 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났다.

부산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와 부산제2상업고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동맹휴학과 '노다이 사건'에 참여했다.

노다이 사건은 1940년 교련 대회에서 일본인 심판 노다이가 편파 판정을 자행해 학생들이 항의한 사건이다.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와 광주공립농업학교는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발원지로, 광주공립농업학교 학생들은 3·1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에는 해방 이후인 1949년 전남지사의 승인을 독립운동 등으로 졸업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수여한 '명예졸업대장'도 남아 있었다.

보훈처는 수집한 학적부를 독립유공자 발굴과 포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박민식 보훈처장은 "항일 독립투쟁에는 언제나 청년 학생들이 있었다"며 "학적부 등 독립운동 사료를 지속해서 수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독립운동 참여 학생 2천596명 학적부 확인…유공자 포상 추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