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국과수, 이태원 현장서 2시간 합동감식
[이태원 참사] 다시 찾은 비극의 골목…핼러윈 랜턴만 덩그러니(종합)
"감식 시작합니다.

한쪽으로 비켜주세요.

"
31일 가슴에 검은 추모 리본을 단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관계자들이 서울 용산구 해밀톤호텔 옆 골목 어귀에 운집한 취재진을 인도 끝 연석까지 물렸다.

국과수 관계자는 "인도까지 감식 대상이기 때문에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하고서 인도와 차도 경계에 주황색 경찰통제선을 쳤다.

이번 참사를 수사하는 서울경찰청과 국과수는 이태원 사고 현장에서 오후 2시 20분부터 약 1시간 50분간 합동 감식을 했다.

사고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왜 이렇게 인명피해가 커졌는지 등을 규명하기 위해서다.

30일 새벽 첫 현장 감식을 했던 경찰은 당시 발견하지 못했던 증거를 추가로 수집하기 위해 이날 국과수와 함께 합동감식을 실시했다.

폭 3.2m, 길이 45m의 골목은 참사가 발생한 당시 그대로 보존됐다.

골목 양쪽에 쌓인 쓰레기 더미로 골목은 더 좁고 초라해 보였다.

덩그러니 남은 주황색 호박 모양의 핼러윈 랜턴만이 이곳이 이틀 전 젊은이들이 한껏 들떠 활보하던 핼러윈 축제의 현장이었음을 증명했다.

[이태원 참사] 다시 찾은 비극의 골목…핼러윈 랜턴만 덩그러니(종합)
고통을 호소하던 희생자들의 절규로 아비규환이었던 골목은 언제 그랬냐는 듯 을씨년스러운 공기로 가득했다.

흰 전신 보호복을 입은 감식반 관계자들은 각종 장비를 들고 이 골목과 T자 모양으로 만나는 이태원 세계음식거리까지 부지런히 오갔다.

한 직원은 골목 어귀에 삼각대를 설치하고 3차원 스캐너를 작동시켰다.

사건 현장을 컴퓨터상에서 3차원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다.

이 직원은 "현장 저장을 위한 절차"라고 설명했다.

그는 스캐너를 약 3분 간격으로 골목 안쪽으로 옮겨가며 곳곳에서 촬영을 이어갔다.

감식반은 골목 경사도도 다시 측정했다.

이미 언론을 통해 해당 골목의 경사도가 10%라고 알려졌지만 더 정밀하게 경사도를 재기 위한 작업이다.

감식반은 작업 중 '어떤 것에 중점을 둔 감식이냐'는 등 쏟아지는 질문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입을 꾹 다문 채 심각한 표정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감식이 끝나고서 "종료됐다"는 사실만 알렸다.

이날 감식 결과는 서울경찰청 수사본부가 참사 당시 인파의 밀집도와 위험도를 파악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