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파 비용 20년간 2경2천조원…CO₂ 배출 적은 극빈국 피해 집중
"유럽·북미 일부선 이득 챙겨 극빈국서 선진국으로 富 대량이동"
[고침] 국제(열파 비용 20년간 2경2천억원…CO₂ 배출 적…)
지구온난화로 유발된 심각한 열파로 1990년대부터 20여년간 세계 경제에 약 16조 달러(2경2천808조원)의 비용이 유발됐으며, 이산화탄소(CO₂)를 가장 적게 배출하는 극빈국에 피해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다트머스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지리학 조교수 저스틴 맨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역별로 가장 더운 닷새간의 평균기온과 경제 통계를 결합해 얻은 분석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극단적 열파가 세계 경제성장에 미친 불균형적 영향'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1992년부터 2013년까지 열파 추이가 경제성장 변화와 통계적으로 일치했으며, 고온에 따른 보건과 생산성, 농산물 산출량 등의 손실이 16조 달러에 달했다고 분석했다.

이런 결과는 가장 덥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국가를 중심으로 연중 최고로 더운 날에 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과 기술이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연구팀은 극단적 열파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부국에서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1.5%에 그치지만 저소득 국가에서는 6.7%에 달했다면서 CO₂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는 유럽과 북미의 일부 지역에서는 드물기는 하지만 이론적으로 기온이 오르면서 오히려 경제적 이득을 챙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맨킨 박사는 이와 관련, "지구온난화를 유발하고 극단적인 열파의 변화를 초래한 사람들이 이런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더 많은 자원을 갖고 때론 이득까지 얻을 수 있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고"면서 "기후변화로 극빈국에서 선진국으로 부가 대량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를 역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했다.

[고침] 국제(열파 비용 20년간 2경2천억원…CO₂ 배출 적…)
맨킨 박사는 앞서 지난 7월 과학 저널 '기후변화'(Climatic Change)에 개별 국가가 기후변화를 유발함으로써 다른 나라에 끼치는 경제적 피해를 평가한 논문을 게재해 온실가스 배출과 온난화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주장할 수 있는 법적 입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바 있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는 온실가스 주요 배출국들이 저소득 국가의 저탄소 배출 경제 구축을 돕는 것에 더해 극단적인 열파에 적응하는 비용의 상당 부분을 부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세계 경제 차원에서 열파 적응 비용을 분담하는 것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고 했다.

[고침] 국제(열파 비용 20년간 2경2천억원…CO₂ 배출 적…)
맨킨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사건은 세계 경제와 공급망이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면서 "저소득 국가는 공급망에 중요한 원자재를 생산하는 근로자를 불균형적으로 많이 가져 상향적 파급효과를 일으킬 잠재력이 있다"고 했다.

논문 제1저자인 박사학위 후보자 크리스토퍼 캘러한은 "매년 가장 더운 때 적응하는 조치를 강화하는 것은 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면서 "(더위) 적응 조치에 투입되는 돈은 비용으로 평가하지 말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의 비용과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아무런 것도 하지 않은데 따른 실질적 비용을 규명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