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대통령실, 당국 책임론에 "수습이 우선…정치악용 말길"
대통령실은 31일 '이태원 압사 참사'의 사고 수습과 후속 대응에 방점을 찍고 내부 회의를 이어갔다.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등 당국의 부실한 안전관리가 피해 규모를 키웠다는 일각의 지적에는 "수습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참사가 발생한 지 겨우 하루가 지나 국민이 아직 불에 덴 심정"이라며 "위로와 치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대국민담화를 통해 "국정의 최우선 순위를 사고의 수습과 후속 조치에 두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담화 발표 후 이태원 사고 현장을 방문하고 중대본 회의를 주재했던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수시로 관계 수석과 회의를 열고 상황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전에도 서울시청 앞에 마련된 정부 합동분향소를 찾아 희생자들을 추모한 뒤 확대 주례회동을 주재하며 관계 부처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고가 '예고된 참사'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경찰이 사고 당일 10만 명 넘는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고서도 불과 137명의 인력만 배치해 성범죄, 마약 등 치안 관리에만 집중했다는 것이다.

지역 축제에 준하는 안전관리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지적과 맞물려 행정안전부나 서울시, 용산구청이 함께 도마 위에 오를 조짐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전날 브리핑에서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몰린 것은 아니다"고 말한 것도 논란이 됐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예상하기 어려웠던 우발적 사고였다고 보고, 책임론보다는 후속지원에 집중하자는 분위기다.

한발 더 나아가 '용산 대통령실 이전에 따른 경호·경비 수요 증가가 결국 현장 인력 부족으로 이어졌다'는 야권 인사의 비판론 등에는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행안부 장관의 발언이 정무적으로 조금 거친 측면이 있기는 했다"면서도 "막기 어려운 사고였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비극적 재난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것은 국가적 해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