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옥타 산하 국제통상전략연구원 추계 세미나서 발표
박한진 교수 "지금이 중국 진출 적기…시장 재편될 것"
"중국에서 사업에 성공하려면 미래 코드를 파악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지금이 중국 진출 적기예요.

중국에 진출한 다른 나라들이 차츰 빠지고 있고, 시장이 재편될 겁니다.

"
박한진 한국외대 중국외교통상학부 객원교수는 29일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한인무역협회(월드옥타·회장 장영식) 산하 국제통상전략연구원(원장 안경률 전 의원) 주관 추계 세미나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서 중국사업단장, 중국지역본부장, 코트라 아카데미 중국경제관측연구소장 등을 지낸 중국 전문가다.

박 교수가 '미래 10년 중국 시장 진출 전략'이라는 주제로 이날 진행한 발표는 월드옥타와 연합뉴스가 공동 주최한 '제26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그는 "과거에 잘 팔리던 제품이 중국에서 잘 안 팔리기도 하고, 반대로 되기도 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색조화장품 대신 기초화장품이 주목을 받으며 시장이 재편된 예도 들었다.

박 교수는 "지난해보다 올해 경제 상황이 낫지만 앞으로 10년은 세계 경제가 상당히 축소될 것"이라며 "중국은 세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세계 경제가 없는 중국은 생각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세계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지만 쉽지 않다고 했다.

코로나19와 같은 질병의 발생,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대립으로 인한 전쟁 발발, 미국과 중국 등 각국 간 경쟁으로 인해 리스크는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박 교수는 "요즘엔 경제에 관해 낙관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면서도 "낙관론과 비관론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어디에서나 비즈니스 기회는 있는데 중국이 특히 그렇다"고 강조했다.

특히 당장 미국과 중국 간 위기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는 않으나 공방 국면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전략적 위치 선정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 밖에도 향후 중국 경제와 사업의 주요 트렌드로는 ▲ 지속적 경기부양 ▲ 국내 사회적 안정 ▲ 인구문제 ▲ 한중 협력 관계 ▲ 애프터 팬데믹 기회 등도 들었다.

한영주 충북대 화장품산업학과 교수는 '화장품 수출 지원정책과 활용방안', 전자상거래 기업 도매토피아의 부영운 대표는 '전자상거래의 과거·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