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복지시스템 개발, 하도급업체만 53곳…사업비 절반 쓰여
개통 이후 지속적인 오류 발생으로 복지 현장에 큰 혼선을 일으킨 차세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이하 차세대 복지시스템) 개발이 절반 이상 하도급 계약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을 통해 제출받은 차세대 복지시스템 하도급 현황에 따르면 이 사업의 주체인 LG CNS 컨소시엄의 3개 업체(LG CNS·한국정보기술·VTW)는 총 53곳의 하도급 업체와 계약을 맺었으며, 하도급 계약 비용은 전체 사업비 1천270억 중 47.1%인 598억원 가량이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분율이 50%인 컨소시엄 총괄책임사인 LG CNS는 35곳의 하도급 업체와 305억3천867만원 상당의 계약을 맺었다.

한국정보기술은 하도급 업체 14곳에 251억9천132만원, VTW는 4곳에 40억5천182만원을 주고 하도급을 맡겼다.

하도급을 맡긴 업무 중에는 데이터 전환, 데이터모델링, 품질관리, 성능테스트 등 핵심 업무도 포함됐다.

앞서 국정감사 과정에서는 차세대 복지시스템 개발 추진단에서 올해 투입 인력의 90%가 빠져나가는 등 개발자 인력 이탈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차세대복지시스템 개발, 하도급업체만 53곳…사업비 절반 쓰여
정부는 오류가 지속되고 안일한 대응에 대한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자 '차세대 시스템 안정화 추진단'을 구성, 대응에 나섰다.

지난 18일 조규홍 장관 주재로 노대명 한국사회보장정보원장, 김영섭 LG CNS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추진단 회의에서 조 장관은 LG CNS에 적극적인 개발 인력 투입을 당부했고, LG CNS는 60명의 인력을 추가 배치해 시스템을 조속히 안정화하겠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전체 사업의 절반 가량이 하도급 업체에 맡겨진 상황에서 오류 해결도 하도급 업체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며 "사업 총괄 책임사인 LG CNS와 주무부처인 복지부는 하루빨리 사업을 정상화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