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보수·여당"…안보·대야 투쟁 고리로 지지층에 어필
이준석엔 온도차…전대 앞두고 '李지지' 2030 표심 의식 관측

내년 초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를 앞둔 국민의힘의 잠재적 당권주자들이 '메시지 정치'를 앞세워 경쟁에 시동을 걸고 있다.

국정감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당이 서서히 전대 준비 모드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존재감을 각인시키고 본격적으로 지지기반 구축에 나설 필요성이 커졌다는 인식으로 풀이된다.

특히 보수층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북·안보 이슈에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면서 선명성 경쟁에 몰두하는 모양새다.

반면에 이준석 전 대표 문제를 두고는 주자들 간 온도 차를 보이고 있어서 향후 전대 국면에서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에 대한 입장이 일반국민 여론조사 및 중도층 표심에 적지 않은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與당권주자들, '북핵·야당' 강성 발언으로 선명성 싸움
◇ "강한 보수" "강한 여당"…안보·대야 이슈 고리로 지지층 어필
북한의 잇따른 도발 속에 안보 이슈에 대한 긴장 수위가 높아지자 주자들은 앞다퉈 강경한 메시지를 쏟아냈다.

주요 고리는 북핵 대응이다.

주자들은 저마다 '해법'을 쏟아내며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기현 의원은 최근 북한의 대규모 포격 이후 "과감한 자위력 확보"를 주장하며 핵개발론에 불을 지피고 있고, 조경태 의원은 독자적인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중도 성향으로 분류되는 유승민 전 의원도 북핵 이슈에 관해서 만큼은 목소리가 강경하다.

윤상현 의원 역시 미국 잠수함 상시 배치와 한미 핵 공유 협정 체결 등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잠재적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9·19 선언 파기 논의를 공론화해 파장을 불러오기도 했다.

대야 공세 전선에서도 거리낌이 없다.

잠재적 당권주자인 권성동 의원은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문재인정부의) 월북 몰이 사건"이라며 야권을 정조준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한미일 연합훈련을 비판하자 나경원 전 의원은 "안보를 친일에 팔아먹은 것"이라며 맹공했고, 오는 18일 이 대표의 재판을 앞두고는 "'뇌물 참사'의 몸통"(김기현), "온갖 참사의 인격화"(권성동)라며 '이재명 때리기'에 앞장서고 있다.

누가 당 대표로 선출되더라도 선명성이 강조되는 쪽으로 정책·대야 노선이 확립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임기 2년인 차기 당 대표는 '거야'(巨野)의 견제 속에 내후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야 하는 만큼, '강한 여당의 지도자'로 존재감을 각인시키려는 모양새다.

◇ '비윤 대 친윤' 차별화 포인트…중도·청년 표심 의식한 듯 '유화' 기류도
반면에 이준석 전 대표 문제를 놓고는 주자들마다 셈법이 좀더 복잡하게 갈리는 양상이다.

친윤계는 이 전 대표가 제기한 가처분 사태에서 이 전 대표를 연일 비판했지만, 비윤계는 이 전 대표를 두둔하면서 당의 대응을 문제 삼는 등 입장차를 드러내 왔다.

대표적 비윤 주자로 분류되는 유 전 의원은 이 전 대표의 징계에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하며 친윤계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조 의원은 이 전 대표의 징계에 반발하는 당원모임 행사에 참석해 이목을 끌었다.

친윤계에서는 좀 더 미묘한 온도 차가 감지된다.

가처분 기각으로 '이준석 리스크'를 털어낸 직후만 해도 "이제는 혼란을 정리할 때"(안철수) "만시지탄"(김기현) 등 앞다퉈 이 전 대표의 '패배'를 환영하는 듯 했지만, 최근 당권 경쟁이 본격 점화하면서는 '유화적' 태도로 선회하는 기류도 엿보인다.

윤상현 의원은 17일 통화에서 이 전 대표와 관련해 "공과를 재평가받을 날이 올 것이고 그래야 한다"고 했고, 김 의원은 "장점을 잘 활용하면 당과 윤석열 정부 성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본격적인 전대 모드로 돌입하면 이 전 대표의 여론 지지율이나 2030(20·30대) 표심을 주자들이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당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일반국민 여론조사 70, 당원투표 30'으로 진행된다.

與당권주자들, '북핵·야당' 강성 발언으로 선명성 싸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