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원유 200만배럴 감산 합의…추경호 "10월 물가 정점론 변화없다"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에 물가 상승폭 0.3%p 추가 우려도
10월 정점?…유가상승·공공요금 인상에 인플레 '경고등' 재점화(종합)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최대 폭의 원유 감산에 합의하면서 국내 물가 상황에 또다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여전히 '10월 물가 정점론'을 고수하고 있지만, 이달 이후 국제유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이 연거푸 이어지면 연말 물가를 재차 끌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9월 물가 상승률 둔화…정부 "10월 물가 정점론 유효"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물가 상승률이 10월 정점을 찍은 뒤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늦어도 10월에 물가 정점이 올 것이란 '물가 정점론'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OPEC+의 감산 발표가 기조적으로 다시 국제유가를 가파르게 급등시키는 요인이 될지, 혹은 현재 나타나고 있는 하향 추세가 지금 수준으로 갈지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추가적인 물가 상승 요인으로 꼽히는 공공요금 인상에 대해서도 "이달 일정 부분 요금 인상은 예정돼 있었던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전망은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안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올해 한때 배럴당 130달러를 돌파했던 국제유가는 최근 배럴당 100달러를 밑돌고 있다.

최근 소비자물가 역시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류 가격 조정의 영향으로 8월 5.7%, 9월 5.6% 등으로 두 달 연속 상승률이 둔화했다.

◇ 국제유가·공공요금 불확실성 확대…물가 0.3%p+α 추가 상승 가능성
문제는 국제유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점이다.

앞서 OPEC과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는 오는 11월 하루 원유 생산량을 이달 대비 200만 배럴 줄이기로 했다고 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대 감산 규모로, 원유 공급이 줄어들면 에너지 가격은 다시 뛰어오르면서 물가를 자극하게 된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24달러(1.43%) 오른 배럴당 87.7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 가격은 3거래일 연속 상승해 지난 9월 14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0월 정점?…유가상승·공공요금 인상에 인플레 '경고등' 재점화(종합)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공공요금 인상 역시 물가를 자극하는 변수 중 하나로 꼽힌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국내 전기요금은 이달부터 1킬로와트시(kWh)당 7.4원 올라가며, 민수용(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도 메가줄(MJ) 당 2.7원씩 인상된다.

상품·서비스 등 다른 분야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산업용 전기나 영업용 가스의 경우 이보다도 더욱 큰 폭으로 가격이 올라간다.

이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 폭이 0.3%포인트(p)가량 추가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5.6%였던 점을 고려하면 10월 물가가 다시 6%에 육박하거나 6%선을 넘어설 수도 있다는 것이다.

10월 정점?…유가상승·공공요금 인상에 인플레 '경고등' 재점화(종합)
◇ 한은 '빅스텝' 가능성…금리 인상 내년까지 이어질 듯
나아가 유가 오름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고강도 긴축 기조를 이어가도록 만드는 요인이기도 하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면 한은도 원화 약세·자금 유출을 방어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

한은은 올해 남은 10월, 11월 두 차례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잇따라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이달에는 '빅스텝'(한꺼번에 0.50%p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0.25%포인트 인상 기조의 전제조건이 바뀌었다'며 빅스텝 가능성을 시사했다.

나아가 금통위 내부에서는 올해뿐 아니라 내년까지 기준금리를 계속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정점을 지연시키고 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결국 가계 고통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