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 취소' 野 공세에 적극 방어…"외교 문제, 여야 따로 없다"
"'외교 참사' 용어 부적절"…외교차관 "英, 대통령 일행에 충분히 의전"
한총리 "장례 미사가 진짜 장례·국장…윤대통령 그곳에 참석"(종합)
한덕수 국무총리는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조문 취소' 논란에 "외교라는 대외적 문제에 여야가 따로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하며 "여야가 한마음으로 해 주면 그만큼 대한민국이 강한 추진력으로 외교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늦게 도착하는 분들(각국 정상들)에 대해서는 런던의 사정을 감안해 왕실에서 다음 날 참배를 하도록 한 것으로 안다"며 "정식 국장 행사는 아니고, 아마 방명록을 쓸 수 있도록 어레인지(조정)를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어 "성당에서 하는 그런 장례가 진짜 장례이고, 국장(國葬)이라고 봐야 한다.

(윤 대통령은) 그곳에 외국 정상들과 같이 참석했다"고 부연했다.

한 총리는 또 "이번 영국 여왕의 장례는 조문과 미사가 있었는데 성당에서 열린 미사는 해외에서 온 500명에 가까운 정상들이 같이 모여서 치른 것"이라며 "때문에 장례식 미사가 아마 제일 공식적인 행사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뿐만 아니라 조금 늦게 런던에 도착한 EU(유럽연합) 집행위원장, 파키스탄 총리, 모나코 국왕, 그리스 대통령, 오스트리아 대통령, 이집트 총리 등도 다 같이 장례식 후에 조문록을 작성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야권 일각에서 '외교 참사'라고 비판하는 데 대해서는 "장례 미사가 끝난 다음 조문록을 작성한 것은 영국 측과의 협의를 통해 이뤄졌기 때문에 참사라는 용어는 적절하지 않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외교부도 이번 '조문 취소'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박진 외교부 장관 대신 출석한 조현동 1차관은 "이번 행사는 조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 참배 서명과 국장인 장례 미사 참석이 있었는데 물론 둘 다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며 "다만 처음부터 영국 왕실과 긴밀하게 협조했고, 다 협의해서 이뤄진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조 차관은 "워낙 많은 정상이 같은 시간대에 도착했기 때문에 도착 슬롯(착륙 배정 시각)까지도 처음부터 영국 측과 긴밀히 협의했다"며 "영국 측도 대통령 일행에 대해 충분히 의전을 갖춰 대우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조문 취소' 논란에 대해 "여러 가지 좀 과도한 추측들이 있었지 않았나 싶다"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