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상반기 한국 자동차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7.7%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하락했다. 유럽과 미국 등 주요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내연기관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한 보조금 지원을 늘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차가 전년 동기 대비 약 20%에 달하는 성장세를 보이며 주요 시장 중 홀로 성장했다. 이에 한국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판매 및 정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차의 점유율은 작년 상반기 7.9%에서 올해 상반기 7.7%로 0.2%포인트 감소했다.

유럽(7.6%→9.9%)과 미국(9.7%→10.4%) 등 주요 시장에서는 점유율이 다소 개선됐으나, 인도(23.3%→21.3%) 등 신흥시장의 점유율은 하락하면서다.
출처=KAMA
출처=KAMA
올해 상반기 중국차를 제외한 미국차(-8.4%), 유럽차(-15.7%), 일본차(-11.8%)의 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양호한 성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올해 상반기 세계 주요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은 유럽차는 26.7%를 기록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2.6%포인트 줄었다. 일본차는 전년 동기 대비 1.2%포인트 줄어든 26.5%로 유럽차를 뒤이었다.

내수 시장을 등에 업은 중국차와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한 유럽·미국차의 행보에 최근 이목이 쏠리고 있다. 중국차는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BYD 등 전기차업체가 선전하면서 점유율이 19.1%로 급증했다. 이는 작년 동기의 15.4% 대비 3.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유럽연합(EU)의 환경장관 이사회는 지난 6월 EU 내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에 관한 기후변화 관련 포괄적 정책에 합의했고, 미국은 자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도입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 수요가 작년 코로나19 이후 반도체 수급 문제 등으로 아직 회복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서는 노동유연성 강화와 전기동력차 등 미래차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며 "IRA에 대해서는 민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