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오전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인이 촬영한 힌남노. / 사진=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 홈페이지
지난달 31일 오전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인이 촬영한 힌남노. / 사진=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 홈페이지
월요일인 5일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을 받아 전국에 많은 비가 내리겠다.

기상청은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에 힌남노 영향을 받아 천둥 번개를 동반한 매우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고 예보했다.

예상 강수량은 전국 100∼300㎜다. 남해안, 경상권 동해안, 제주도(산지 제외), 지리산 부근, 울릉도와 독도는 400㎜ 이상의 비가, 제주도 산지에는 600㎜ 이상의 매우 많은 비가 내리겠다.

힌남노의 간접 영향권에 든 제주도는 이날 오전 6시 비상 최고단계 대응 태세에 들어갔다. 제주지방기상청은 이날 오전 8시를 기해 제주도 육상 전역과 제주도 앞바다에 태풍경보를 발효한다.

제주국제공항에도 이날 오전 8시부터 6일 정오까지 태풍 특보가 내려졌다.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 운항이 예정된 항공편은 모두 140편(출발 77편, 도착 63편)이다.

하이에어를 제외한 나머지 항공사들은 오후 1~2시께 제주 기점 항공편을 전편 결항했다. 대한항공은 이날 낮 12시 35분께 제주 출발 서울 김포 도착 항공편을 마지막으로 제주 기점 항공편을 모두 결항한다.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4일 밤 제주도 서귀포항에 배들이 정박해 있다. / 사진=연합뉴스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4일 밤 제주도 서귀포항에 배들이 정박해 있다. / 사진=연합뉴스
바닷길의 경우 제주와 다른 지역을 잇는 9개 항로 12척은 모두 운항이 중단됐다. 한라산 탐방도 전면 통제됐다.

힌남노는 이날 오전 3시 기준 중심기압 935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 초속 49m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서귀포 남남서쪽 약 44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2㎞ 속도로 북북동진하고 있다.

이 태풍은 6일 새벽 제주도 부근을 지나 같은 날 오전 경남 남해안에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