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기술인력 확보 위해 영주·시민권 발급도 신속·간소화 추진
'인력난' 호주, 이민자 수용 한도 16만명→19만5천명으로 확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겪으면서 인력난에 시달리는 호주가 올해 이민 수용 한도를 2010년대 중반 수준인 19만5천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2일(현지시간) 호주 ABC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클레어 오닐 내무장관은 이날 호주 수도 캔버라에서 열린 '일자리 기술회의'에서 2022∼2023 회계연도(2022년 7월∼2023년 6월)의 이민자 수용 한도를 전년 대비 3만5천명 늘릴 방침임을 공개했다.

일자리 기술회의는 정부와 노동조합, 고용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호주의 경제와 일자리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일종의 노사정 회의다.

이 자리에서 오닐 장관은 "우리는 항상 호주인의 고용을 우선으로 생각한다"며 "그러나 코로나19의 영향이 너무 심각해 단기적으로 수천 명의 근로자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이번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호주는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연간 이민자 수용 한도를 19만명 수준으로 설정했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상한을 줄이기 시작해 2019∼2020 회계연도에는 14만명까지 축소한 바 있다.

하지만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노동 인력이 부족해지자 이민자 수용 한도를 다시 늘리고 있다.

호주 정부는 또 숙련 근로자들의 비자 발급과 영주권, 시민권 취득이 지금보다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비자 업무 관련 직원을 500명 추가 고용하기로 했다.

호주는 많은 외국인 인력을 필요로 하면서도 비자 발급 관련 인력이 부족해 비자 발급을 기다리는 대기 인원이 한때 100만 명에 이를 만큼 적체가 심하다.

또 외국인 숙련 인력이 임시비자에서 영주권, 영주권에서 시민권으로 더 쉽고 빠르게 전환할 수 있도록 절차 간소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인력난' 호주, 이민자 수용 한도 16만명→19만5천명으로 확대
현재 호주는 이민을 늘려야 할 만큼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호주는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매년 약 40만명의 유학생과 25만명의 워킹 홀리데이 비자 소지자가 입국해 호텔과 레스토랑, 농장 등에서 일했다.

하지만 코로나19 과정에서 국경을 폐쇄하면서 대부분의 단기 노동자와 상당수의 숙련 노동자가 떠났고, 올해 다시 국경을 열었지만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못하면서 인력난을 겪고 있다.

호주 KPMG에 따르면 호주 내 외국인 숙련 노동자는 코로나19 이전보다 50만명 줄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