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해차 보급목표제’ 시행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수십억원의 벌금을 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전기차 생산시설이 없는 르노코리아, 한국GM은 수입한 차량을 판매해야 정부 기준을 맞출 수 있다. 한국GM의 인천 부평공장 생산라인. /연합뉴스
‘무공해차 보급목표제’ 시행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수십억원의 벌금을 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전기차 생산시설이 없는 르노코리아, 한국GM은 수입한 차량을 판매해야 정부 기준을 맞출 수 있다. 한국GM의 인천 부평공장 생산라인. /연합뉴스
국내 주요 완성차 기업 노사가 올해 잇따라 무분규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끌어내고 있다. 그러나 한국GM은 여전히 노사 간 입장차이로 인해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있다.

"생존 문제"...전기차 생산설비 두고 노사 갈등

한국GM 부평공장. 사진=연합뉴스
한국GM 부평공장. 사진=연합뉴스
3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노사가 17차까지 교섭을 진행했지만 결렬됐고, 현재까지 추가 협상 일정조차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월 기본급 14만2300원 인상, 통상임금의 400% 성과급(1694만원 상당) 지급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사측은 2014년부터 8년간 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누적 적자가 5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노조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 및 성과급을 지급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사측은 최근 교섭에서 월 기본급 4만1000원 인상과 성과급 500만원 지급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한국GM 노조는 연내 폐쇄될 것으로 전망되는 부평 2공장에 전기차 생산 시설을 구축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 내 전기차 생산 투자를 강조한 법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미국에서 통과하면서, 제너럴모터스(GM)가 한국에서 전기차 생산 배정할 가능성이 더 줄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 때문에 한국GM의 임단협이 다른 완성차와는 달리 합의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더욱이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수석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International, GMI) 사장이 이달 말 방한 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합의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 예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한국GM 노조는 실판 아민 사장을 만나 국내 전기차 물량 배정을 위해 힘써달라고 요청하려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GM의 노조가 임단협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국내에 전기차 라인을 만들라는 요구다"라며 "생존을 위해 노조가 주장하는 사안이기 때문에, 합의에 있어서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다음 달 추석 연휴 전까지 회사가 새로운 제시안과 함께 교섭에 나서지 않는다면 파업 등을 활용한 투쟁 방식을 결정할 예정이다. 한국GM 노조는 이미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한 상황이다.

한국GM을 제외한 현대자동차, 르노코리아자동차, 기아는 올해 무분규 임단협을 마무리 지었다. 맏형 격인 현대차는 노조가 설립된 1987년 이후 처음으로 4년 연속 임단협 무분규 타결을 이뤘고, 기아 또한 2년 연속 무분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르노코리아 역시 지난 27일 임단협 본교섭에서 합의안을 도출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