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사고'가 용산 개편 방아쇠…기자 접촉 금지령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공' 집중타깃…檢 출신·정책라인은 한발 빗겨나
상시 공직기강 확립 체제…'입단속'에 "서슬 퍼렇다" 최근 대대적으로 진행 중인 대통령실 인적 개편은 일련의 '보안 사고'에서 촉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감한 대외비 정보유출이 국정 지지도 하락을 가속화했다는 인식 아래 '내부 고발자'를 확인하고 정리하는 작업으로부터 물밑 개편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31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보안 사고를 인적 개편의 트리거(방아쇠)로 본다"며 "일부 감찰이 전면 조직 진단으로 확대된 경우"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100일에 앞서 대통령실 관계자가 아니면 알기 어려운 정보가 고스란히 노출됐다.
그럴 때마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움직였다.
대표적으로 이원모 인사비서관 부인 신모 씨가 윤 대통령 내외의 나토 순방에 동행한 사실이 알려진 뒤 사적 채용 논란으로 번지면서 관련 감찰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감찰 결과에 따른 인사 조치가 뒤따랐다.
이후 시민사회수석실 소속 행정요원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 집회 및 시위 입체 분석'이라는 문건을 유출하면서 감찰 범위가 한층 확대됐다고 한다.
일부 실무진은 대통령실 내부 정보를 무분별하게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 관계자)과 그 주변에 공유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그들을 일거에 퇴출하다 보니 대통령실 인적 개편 자체가 '윤핵관 솎아내기'로 비친 측면도 있다는 게 지배적인 해석이다.
검찰 출신이 키를 쥔 인사·총무·법무라인이나 '늘공'(직업 공무원) 위주의 정책라인이 개편에서 한발 빗겨 있고, '어공'(정무직 공무원)이 집중 타깃이 된 것도 그런 맥락으로 보인다.
한 관계자는 "검찰 출신이나 늘공들은 애초 언론 접촉을 거의 하지 않았다"며 "보안 사고도 그 외 파트에서 주로 벌어졌다"고 했다.
한번 본격적으로 시작된 고강도 감찰은 상시 공직기강 확립 체제의 가동으로 이어졌다.
공교롭게도 지지율 반등을 위해 국면 전환이 필요한 시점과 맞물렸다.
대통령실은 선임행정관 이하 전 직원에게 업무 기술서를 받았고, 이를 근거로 일부 직원의 사직을 권고하고 있다.
역량과 적성을 '적임자'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들었다.
일각에서는 이번 개편 규모가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전체 420여 명의 20%에 가까운 80여 명 안팎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책기획수석을 선임으로 일부 비서관실을 재배치하고, 정무수석실 기획 업무 보강과 시민사회수석실 축소 운영을 포함한 대통령실 설계 변경을 병행하는 분위기다.
정무라인을 중심으로 최근 '입단속'이 대폭 강화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익명의 관계자는 통화에서 "기자들과 통화 하지 말라는 엄명이 떨어졌다"며 "공직기강 서슬이 퍼래서 모두 언론 접촉을 피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내부 정보 유출에 대한 감찰도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윤 대통령 취임식 초청 명단을 언론에 유출한 내부 직원을 확인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보는 눈이 많아 기자들과 만나기 눈치 보인다"며 "대통령실 1층에 기자실을 둔 취지와 배치되는 것 아닌가 하는 지적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상시 공직기강 확립 체제…'입단속'에 "서슬 퍼렇다" 최근 대대적으로 진행 중인 대통령실 인적 개편은 일련의 '보안 사고'에서 촉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감한 대외비 정보유출이 국정 지지도 하락을 가속화했다는 인식 아래 '내부 고발자'를 확인하고 정리하는 작업으로부터 물밑 개편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31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보안 사고를 인적 개편의 트리거(방아쇠)로 본다"며 "일부 감찰이 전면 조직 진단으로 확대된 경우"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100일에 앞서 대통령실 관계자가 아니면 알기 어려운 정보가 고스란히 노출됐다.
그럴 때마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움직였다.
대표적으로 이원모 인사비서관 부인 신모 씨가 윤 대통령 내외의 나토 순방에 동행한 사실이 알려진 뒤 사적 채용 논란으로 번지면서 관련 감찰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감찰 결과에 따른 인사 조치가 뒤따랐다.
이후 시민사회수석실 소속 행정요원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 집회 및 시위 입체 분석'이라는 문건을 유출하면서 감찰 범위가 한층 확대됐다고 한다.
일부 실무진은 대통령실 내부 정보를 무분별하게 '윤핵관'(윤 대통령 핵심 관계자)과 그 주변에 공유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그들을 일거에 퇴출하다 보니 대통령실 인적 개편 자체가 '윤핵관 솎아내기'로 비친 측면도 있다는 게 지배적인 해석이다.
검찰 출신이 키를 쥔 인사·총무·법무라인이나 '늘공'(직업 공무원) 위주의 정책라인이 개편에서 한발 빗겨 있고, '어공'(정무직 공무원)이 집중 타깃이 된 것도 그런 맥락으로 보인다.
한 관계자는 "검찰 출신이나 늘공들은 애초 언론 접촉을 거의 하지 않았다"며 "보안 사고도 그 외 파트에서 주로 벌어졌다"고 했다.
한번 본격적으로 시작된 고강도 감찰은 상시 공직기강 확립 체제의 가동으로 이어졌다.
공교롭게도 지지율 반등을 위해 국면 전환이 필요한 시점과 맞물렸다.
대통령실은 선임행정관 이하 전 직원에게 업무 기술서를 받았고, 이를 근거로 일부 직원의 사직을 권고하고 있다.
역량과 적성을 '적임자'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들었다.
일각에서는 이번 개편 규모가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전체 420여 명의 20%에 가까운 80여 명 안팎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책기획수석을 선임으로 일부 비서관실을 재배치하고, 정무수석실 기획 업무 보강과 시민사회수석실 축소 운영을 포함한 대통령실 설계 변경을 병행하는 분위기다.
정무라인을 중심으로 최근 '입단속'이 대폭 강화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익명의 관계자는 통화에서 "기자들과 통화 하지 말라는 엄명이 떨어졌다"며 "공직기강 서슬이 퍼래서 모두 언론 접촉을 피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내부 정보 유출에 대한 감찰도 계속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윤 대통령 취임식 초청 명단을 언론에 유출한 내부 직원을 확인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다른 관계자는 "보는 눈이 많아 기자들과 만나기 눈치 보인다"며 "대통령실 1층에 기자실을 둔 취지와 배치되는 것 아닌가 하는 지적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