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러 제재'에 선박건조 차질…속타는 조선업계
대러시아 제재 여파로 한국 조선업체들이 러시아 현지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러시아 연해주 소도시 볼쇼이카멘에 있는 즈베즈다 조선소에서는 삼성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 등 한국의 조선기업 3곳이 러시아 측에 공급할 원유 운송선, 액화천연가스(LNG) 운송선 등을 건조하고 있다.

앞서 2017∼2021년 이들 기업은 즈베즈다 조선소에 선박 20여 척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사업은 국내에서 제작한 선박 블록과 부품·자재 등을 즈베즈다 조선소로 가져가 조립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건조 중인 수백m 규모의 대형 선박들 가운데 쇄빙 기능을 갖춘 것은 러시아가 개발에 공을 들이는 북극해 항로에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후 국내 기업들은 선박 건조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서방 제재에 따라 러시아, 벨라루스 등으로 수출하는 선박·해양 시스템·장비가 정부의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하는 비전략 물자 57개 품목에 포함되면서 자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업체들은 선박 건조에 필요한 부품·자재 반입을 위해 정부에 수출 허가 승인을 신청했지만, 최근까지도 대다수 품목에 대한 승인이 나지 않으면서 현지 작업이 사실상 거의 중단된 상황이다.

즈베즈다 조선소 측에 단계적으로 선박들을 공급하기로 한 국내 한 기업은 당초 내년 초까지 대형 LNG 쇄빙 운송선 1척을 건조하기로 했지만, 현 상황이 계속된다면 기한을 지키기 어려울 전망이다. 선박 조립은 끝냈지만, 아직 바다에 배를 띄우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 수출 허가 품목인 선박용 페인트를 들여오지 못해 선박 도장 작업이 미뤄진 탓이다.

사업이 차질을 빚으면서 현지에 투입된 기술인력 상당수는 한국으로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조선업체는 이미 국내에서 제작된 러시아 수출용 선박 블록과 자재 등을 별도로 임대한 국내 창고 등에 쌓아두고 있다. 하지만 수출승인 지연으로 보관 기간이 길어지면서 녹이 스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 조선업체들로부터 선박 자재 납품을 의뢰받은 협력업체들 역시 피해를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 추진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즈베즈다 조선소 측이 당초 계약한 물량 일부를 취소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이에 따른 손실 비용 책임을 두고 즈베즈다 조선소 측과 국내 기업 간 분쟁도 불가피해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