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테러 표적은 경찰서·교도소…사상자는 화기 테러가 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팀, 주요 8개국 테러 동향 분석
주요 국가들의 테러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가 중요시설 가운데 경찰서나 교도소 등 법 집행 기관이 주 테러 표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폭탄 테러보다 자동소총 등 화기를 이용한 테러에서 더 많은 인명 피해가 난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한국경호경비학회에 따르면 오한길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회재난연구센터 연구사 연구팀은 최근 학술지 '시큐리티연구'에 실은 'G7 국가 테러 동향에 따른 국내 국가중요시설의 테러 위험도 분석' 논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과 경제력이 비슷한 수준인 G7 국가와 초청국 자격으로 참여하는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대상으로 2010∼2019년 발생한 국가중요시설 테러 사례를 분석했다.
다만 인도와 일본은 각각 최대 표본과 최소 표본에 해당해 분석 결과를 왜곡할 수 있어 대상에서 제외했다.
국가중요시설의 범위는 통합방위법에 따라 정했다.
연구 결과 2010∼2019년 8개국에서 발생한 테러는 총 519건이었다.
영국이 211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93건), 남아공(63건) 등이 뒤를 이었다.
테러로 인한 사상자는 미국이 403명으로 최다를 기록했고, 영국(156명), 프랑스(98명), 남아공(58명) 등의 순이었다.
국가중요시설 중 테러의 주 표적은 경찰 관련 시설과 교도소 등 법집행시설(220건)이었다.
정부 시설(법원, 행정부 시설 등)과 군사시설을 상대로 한 테러도 각각 175건과 47건 발생해 고위험 시설로 지목됐다.
무기 유형별로는 폭탄 등을 이용한 폭발이 170건으로 가장 많았다.
자동소총 등을 이용한 화기 테러는 100건, 방화나 화염병 등 인화물질을 이용한 화재 테러는 39건이었다.
이 가운데 화기 테러로 인한 사상자가 301명으로 가장 많았다.
흉기를 이용한 육탄 테러나 폭발물 테러로는 각각 188명과 102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육탄 테러는 발생 빈도 자체는 높지 않았지만, 건수 대비 사상자 수(6.1명)는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발생빈도, 사상자 수, 테러 강도를 종합적으로 보면 화기를 이용한 테러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한국이 테러 위험성과 취약성을 평가해 위험순위에 따라 '핀셋'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현재 테러방지법은 테러 발생 이후의 대응 중심으로 돼 있어서 예방 측면에서의 업무수행이 쉽지 않다"며 "국가중요시설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테러 예방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연합뉴스
또 폭탄 테러보다 자동소총 등 화기를 이용한 테러에서 더 많은 인명 피해가 난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한국경호경비학회에 따르면 오한길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사회재난연구센터 연구사 연구팀은 최근 학술지 '시큐리티연구'에 실은 'G7 국가 테러 동향에 따른 국내 국가중요시설의 테러 위험도 분석' 논문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과 경제력이 비슷한 수준인 G7 국가와 초청국 자격으로 참여하는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대상으로 2010∼2019년 발생한 국가중요시설 테러 사례를 분석했다.
다만 인도와 일본은 각각 최대 표본과 최소 표본에 해당해 분석 결과를 왜곡할 수 있어 대상에서 제외했다.
국가중요시설의 범위는 통합방위법에 따라 정했다.
연구 결과 2010∼2019년 8개국에서 발생한 테러는 총 519건이었다.
영국이 211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93건), 남아공(63건) 등이 뒤를 이었다.
테러로 인한 사상자는 미국이 403명으로 최다를 기록했고, 영국(156명), 프랑스(98명), 남아공(58명) 등의 순이었다.
국가중요시설 중 테러의 주 표적은 경찰 관련 시설과 교도소 등 법집행시설(220건)이었다.
정부 시설(법원, 행정부 시설 등)과 군사시설을 상대로 한 테러도 각각 175건과 47건 발생해 고위험 시설로 지목됐다.
무기 유형별로는 폭탄 등을 이용한 폭발이 170건으로 가장 많았다.
자동소총 등을 이용한 화기 테러는 100건, 방화나 화염병 등 인화물질을 이용한 화재 테러는 39건이었다.
이 가운데 화기 테러로 인한 사상자가 301명으로 가장 많았다.
흉기를 이용한 육탄 테러나 폭발물 테러로는 각각 188명과 102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육탄 테러는 발생 빈도 자체는 높지 않았지만, 건수 대비 사상자 수(6.1명)는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발생빈도, 사상자 수, 테러 강도를 종합적으로 보면 화기를 이용한 테러의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한국이 테러 위험성과 취약성을 평가해 위험순위에 따라 '핀셋'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현재 테러방지법은 테러 발생 이후의 대응 중심으로 돼 있어서 예방 측면에서의 업무수행이 쉽지 않다"며 "국가중요시설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테러 예방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