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영업자, 코로나 충격에 식당·옷가게 개업도 포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호남통계청 코로나 전후 생활업종 비교…개업 건수 큰 폭 감소
코로나19 직후 광주지역에서 식당, 옷가게 등 새로운 가게를 연 건수가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7일 발표한 코로나19 전후 광주시 생활업종 소상공인 경제변화상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개업 사업체는 1만514개, 폐업 사업체는 9천42개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각 2천593개(19.8%)와 884개(8.9%) 줄었다.
개업 자체가 큰 폭 준 것은 코로나 여파로 서민들이 삶의 터전인 생활업종에 새롭게 나서는 것을 포기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개업 건수 자체가 준 만큼 폐업하는 자영업자도 소폭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전체 활동사업체 수는 7만2천147개로 2019년 대비 소폭(1천116개·1.6%) 늘었다.
소상공인 평균 연 매출액은 1억2천5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100만원(0.7%) 느는 데 그쳤다.
연령대로 보면 40대가 1억3천900만원, 50대는 1억3천200만원 순이며 30대 미만은 8천800만원으로 집계됐다.
폐업한 사업체의 평균 영업 기간은 4.3년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연 매출액이 준 업종은 여행사(-67.7%), 펜션(-48.8%), 노래방(-24.2%), 생활용품 임대(-19.6%) 순으로 여가생활, 생활 서비스, 교육업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충장로, 상무지구, 봉선동 일대 등 5대 상권만을 놓고 볼 때 개업한 사업체는 2천649개로 코로나 이전 대비 935개(26.1%) 줄었다.
업종별로 소매업 소상공인의 평균 연 매출액은 1억8천1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0.8% 늘었다.
식료품점(11.8%), 가전제품(10.4%), 꽃집(8.8%) 등이 증가한 반면 화장품(-13.1%), 휴대폰 가게(-9.6%), 인테리어(-4.1%) 등은 매출액이 줄었다.
소매업체 수는 의류(5천326개), 식료품점(4천561개), 통신판매(3천606개), 통닭(1천414개), 분식(1천366개) 등 모두 2만1천196개로 조사됐다.
음식업종 평균 연 매출액은 1억1천8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 대비 1.1%(200만원) 줄었다.
사업체 수는 2만1천942개로 전체 생활업종의 30.4%를 차지했다.
한식(9천190개), 호프·간이주점(3천750개), 카페(3천454개) 순으로 많다.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카페(7.5%), 패스트푸드(7.1%) 등을 늘었으며 호프·간이주점(5.4%)과 중식(2.1%) 등은 줄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직후 광주지역에서 식당, 옷가게 등 새로운 가게를 연 건수가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7일 발표한 코로나19 전후 광주시 생활업종 소상공인 경제변화상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개업 사업체는 1만514개, 폐업 사업체는 9천42개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각 2천593개(19.8%)와 884개(8.9%) 줄었다.
개업 자체가 큰 폭 준 것은 코로나 여파로 서민들이 삶의 터전인 생활업종에 새롭게 나서는 것을 포기했음을 보여준다.
여기에 개업 건수 자체가 준 만큼 폐업하는 자영업자도 소폭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전체 활동사업체 수는 7만2천147개로 2019년 대비 소폭(1천116개·1.6%) 늘었다.
소상공인 평균 연 매출액은 1억2천5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100만원(0.7%) 느는 데 그쳤다.
연령대로 보면 40대가 1억3천900만원, 50대는 1억3천200만원 순이며 30대 미만은 8천800만원으로 집계됐다.
폐업한 사업체의 평균 영업 기간은 4.3년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연 매출액이 준 업종은 여행사(-67.7%), 펜션(-48.8%), 노래방(-24.2%), 생활용품 임대(-19.6%) 순으로 여가생활, 생활 서비스, 교육업 분야에서 두드러졌다.
충장로, 상무지구, 봉선동 일대 등 5대 상권만을 놓고 볼 때 개업한 사업체는 2천649개로 코로나 이전 대비 935개(26.1%) 줄었다.
업종별로 소매업 소상공인의 평균 연 매출액은 1억8천1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0.8% 늘었다.
식료품점(11.8%), 가전제품(10.4%), 꽃집(8.8%) 등이 증가한 반면 화장품(-13.1%), 휴대폰 가게(-9.6%), 인테리어(-4.1%) 등은 매출액이 줄었다.
소매업체 수는 의류(5천326개), 식료품점(4천561개), 통신판매(3천606개), 통닭(1천414개), 분식(1천366개) 등 모두 2만1천196개로 조사됐다.
음식업종 평균 연 매출액은 1억1천8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 대비 1.1%(200만원) 줄었다.
사업체 수는 2만1천942개로 전체 생활업종의 30.4%를 차지했다.
한식(9천190개), 호프·간이주점(3천750개), 카페(3천454개) 순으로 많다.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카페(7.5%), 패스트푸드(7.1%) 등을 늘었으며 호프·간이주점(5.4%)과 중식(2.1%) 등은 줄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