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2분기 영업익 1,719억원…전년비 3.2%↑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2분기 별도 기준 매출 5,037억 원, 영업이익 1,719억 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분기 정기 보수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었으나 3공장 가동률 및 환율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15억 원(+22.2%), 영업 이익은 53억 원 (+3.2%)이 각각 증가했다.

CMO(위탁생산)부문은 2022년 상반기 기준 누적 수주 73건을 기록했으며 4공장 선 수주 활동을 통해 5개사 총 7개 제품의 계약을 체결했다. CDO(위탁개발)부문도 누적 수주 95건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얀센, 머크, GSK, 일라이 릴리, 노바티스 등 대형 제약사들과 계약을 잇따라 체결하며 누적 수주 총액 79억 달러를 달성했다.

수주 성과에 따라 현재 전 공장(1·2·3공장)은 완전가동 중이며 4공장(25.6만L)은 올해 10월 부분 가동을 목표로 차질없이 공사가 진행 중이다. 4공장 완공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 세계 CMO 생산량에 30%를 차지하게 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2년 2분기 매출 2,328억 원, 영업이익 585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53억 원 (+24.2%), 영업 이익은 286억 원(+95.7%) 각각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총 6종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상업화에 성공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 판매 수익, 개발 성과에 대한 대가(마일스톤)와 견고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창사 이래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유럽에서 출시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SB4(엔브렐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을 제치고 현지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6월엔 안과질환 치료제 SB11(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을 미국에 출시함으로써 하반기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기대하고 있다.

상용화된 제품 6종 외에도 4종의 후속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품목허가 심사(SB12) 및 임상 완료(SB15), 임상 3상(SB16, SB17)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입지를 공고히 해 나가고 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22년 2분기 연결기준 자산은 에피스 지분 인수에 따른 영향으로 15조 6,595억 원, 자본 8조 4,799억 원, 부채 7조 1,796억 원으로 변경됐다. 부채비율 84.7%, 차입금비율 26.2%로 여전히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고영욱기자 yyko@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