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 "인하대에 성폭력 재발방지책 요구…2차피해 없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성에 대한 폭력' 아니고 성폭력 사건…젠더갈등 증폭 안돼"
"구조적 차별 얘기하지만…20대들은 유리천장 없다고 느껴"
"女장관 비율 정해놓는 건 도식적…성과내면 늘어날 것"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24일 인하대 캠퍼스에서 발생한 성폭행 사망사건과 관련해 "여가부는 인하대 측에 재발방지대책 제출 의무를 안내하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민감한 언론보도가 이뤄지지 않도록 한국기자협회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필요하면 찾아가는 양성평등 교육, 성폭력 방지 교육도 하라고 할 수 있고, 피해자 가족이나 동급생이 원하는 경우 심리상담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남성 가해자, 여성 피해자' 프레임으로 사건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건 학생 안전의 문제지, 또 남녀를 나눠 젠더 갈등을 증폭하는 건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인하대는 학교 내 폐쇄회로(CC)TV 설치와 학생 안전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남성 피해자 비율이 20%가 넘는다는 통계를 제시했다.
김 장관은 최근 심화한 젠더 갈등의 원인으로 세대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다.
그는 "젊은 남성들은 가부장적 지위를 누리거나 남성 우위 사회에 살지 않았는데 결혼할 때는 전부 남성이 집을 해와야 한다는 등 고정관념이 여전히 있다"며 "대학에서 강의할 때 군대 다녀온 남학생들이 수업을 못 따라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여성은 구조적으로 차별받는 존재라고 얘기하는데, 물론 우리 세대에는 유리천장이 존재했지만 20대들은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라고도 했다.
한국에서 젠더 갈등만큼이나 심각한 저출생 문제는 "어떻게 추산하든 전 세계 꼴찌"라며 "이 역시 경제적 문제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저출생 해결이 정부의 정책만으로 되는 건 아니라면서도 "제가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대통령비서실 고용복지수석비서관을 지낼 때는 합계출산율 1.16까지 유지했고, 문재인 정부 때 확 떨어진 건 맞다"며 "전 정부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도 거의 열리지 않았고, 출산율을 반등시키는 노력조차 없었다"라고 꼬집었다.
김 장관은 출생률을 반등시키기 위해 현재 2만6천여명 규모인 정부 지원 아이돌보미 수를 대폭 늘리고, 기업 가족친화인증제를 통해 유연근무와 육아휴직을 활성화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 52시간 근무제 개편'이 일·가정 양립을 악화하지 않겠냐는 지적에는 "근로 시간을 늘린다는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탄력적인 근무가 가능해지면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정치 영역에서 여성 대표성이 높아져야 하고 능력이 되는 분이 있다면 여성을 많이 발탁하는 게 좋다"면서도 현 정권의 여성 장관 비율에 대해서는 "숫자로 정해놓는 건 오히려 도식적이고, 이미 내각에 들어온 여성 장관들이 성과를 잘 내면 여성 비율이 높아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구조적 차별 얘기하지만…20대들은 유리천장 없다고 느껴"
"女장관 비율 정해놓는 건 도식적…성과내면 늘어날 것"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24일 인하대 캠퍼스에서 발생한 성폭행 사망사건과 관련해 "여가부는 인하대 측에 재발방지대책 제출 의무를 안내하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민감한 언론보도가 이뤄지지 않도록 한국기자협회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필요하면 찾아가는 양성평등 교육, 성폭력 방지 교육도 하라고 할 수 있고, 피해자 가족이나 동급생이 원하는 경우 심리상담도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남성 가해자, 여성 피해자' 프레임으로 사건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건 학생 안전의 문제지, 또 남녀를 나눠 젠더 갈등을 증폭하는 건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인하대는 학교 내 폐쇄회로(CC)TV 설치와 학생 안전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남성 피해자 비율이 20%가 넘는다는 통계를 제시했다.
김 장관은 최근 심화한 젠더 갈등의 원인으로 세대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다.
그는 "젊은 남성들은 가부장적 지위를 누리거나 남성 우위 사회에 살지 않았는데 결혼할 때는 전부 남성이 집을 해와야 한다는 등 고정관념이 여전히 있다"며 "대학에서 강의할 때 군대 다녀온 남학생들이 수업을 못 따라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여성은 구조적으로 차별받는 존재라고 얘기하는데, 물론 우리 세대에는 유리천장이 존재했지만 20대들은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라고도 했다.
한국에서 젠더 갈등만큼이나 심각한 저출생 문제는 "어떻게 추산하든 전 세계 꼴찌"라며 "이 역시 경제적 문제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저출생 해결이 정부의 정책만으로 되는 건 아니라면서도 "제가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대통령비서실 고용복지수석비서관을 지낼 때는 합계출산율 1.16까지 유지했고, 문재인 정부 때 확 떨어진 건 맞다"며 "전 정부에서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도 거의 열리지 않았고, 출산율을 반등시키는 노력조차 없었다"라고 꼬집었다.
김 장관은 출생률을 반등시키기 위해 현재 2만6천여명 규모인 정부 지원 아이돌보미 수를 대폭 늘리고, 기업 가족친화인증제를 통해 유연근무와 육아휴직을 활성화하겠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주 52시간 근무제 개편'이 일·가정 양립을 악화하지 않겠냐는 지적에는 "근로 시간을 늘린다는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탄력적인 근무가 가능해지면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정치 영역에서 여성 대표성이 높아져야 하고 능력이 되는 분이 있다면 여성을 많이 발탁하는 게 좋다"면서도 현 정권의 여성 장관 비율에 대해서는 "숫자로 정해놓는 건 오히려 도식적이고, 이미 내각에 들어온 여성 장관들이 성과를 잘 내면 여성 비율이 높아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