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성상납 수사결과 발표 임박설…차기 지도체제 논의 물밑 '꿈틀'
비대위·조기전대 등 시나리오 거론…주자별 유불리 셈법 교차
李 수사결과 따라 與권력구도 '출렁'…당권경쟁 조기점화 가능성
국민의힘 물밑에서 차기 지도부 구성 논의가 꿈틀대고 있다.

국민의힘은 초유의 당 대표 징계 사태가 불러온 혼란을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로 수습했다.

이준석 대표에 대한 '당원권 6개월 징계' 상황을 '궐위'가 아닌 '사고'에 따른 직무 정지 상태로 해석하고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해 일단 급한 불은 끈 것이다.

그럼에도 이 대표의 수사 결과에 따라 현재의 과도기 체제가 예상보다 일찍 마감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수면 아래가 분주해지는 양상이다.

특히 일부 유력 당권주자들은 벌써 몸풀기에 돌입하거나 차기 지도부 선출 시나리오를 놓고 득실 계산에 들어간 모양새여서 수사 결과 발표와 동시에 당이 권력 투쟁의 격랑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17일 당내 율사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앞으로 한두 달 안에 이 대표의 '성 상납 의혹'에 대한 경찰 수사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내에서는 이번 수사 결과에 따라 이 대표의 정치적 생명이 갈리는 것은 물론 차기 당권 구도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도 직무대행 체제가 의총에서 추인된 지난 11일 "경찰 수사 결과가 앞으로 지도체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같은 날 초선 모임에서는 몇몇 의원들이 이 대표의 거취를 가정해 차기 지도부 선출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만약 수사 결과가 기소 쪽으로 나온다면 이 대표의 '궐위'가 굳어지면서 곧바로 차기 지도부 구성 논의가 본격적으로 분출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李 수사결과 따라 與권력구도 '출렁'…당권경쟁 조기점화 가능성
우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연말 정도까지 비대위 체제로 당을 운영한 다음 이 대표의 잔여임기가 6개월 밑으로 들어오는 내년 초쯤 정기 전대를 치르는 방안이다.

이 경우 새 대표는 2024년 총선 공천권도 손에 쥐게 된다.

이는 권 대행 등이 선호하는 안으로 알려져 있다.

원내대표 임기가 내년 4월까지인 권 대행으로선 당 대표 출마를 위한 중도 사퇴가 부담스럽기 때문에 비대위 체제를 통해 최대한 시간을 벌 필요가 있다는 관측이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이른바 '징검다리 전당대회'다.

이는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이상이면 60일 이내에 임시 전대를 열도록 한 당헌에 따른 것이다.

여기서 뽑힌 당 대표의 임기는 이 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6월까지라서 다음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다.

그렇지만 집권 초반 여당 대표로서 집중 조명을 받으며 당 안팎의 지지 기반을 넓히고 이를 발판으로 정기 전대에 재도전할 기회가 열려있다는 점은 메리트로 꼽힌다.

차기 주자 중에서는 원내대표를 지낸 김기현 의원이나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을 거쳐 입당한 안철수 의원이 임시 전대를 선호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당내에서는 이들과 함께 정진석 국회부의장을 비롯, 주호영 정우택 조경태 윤상현 의원, 나경원 전 의원 등의 당권 도전 가능성이 거론된다.

반면 수사 결과가 무혐의로 결론이 나면 이 대표가 예정대로 징계 기간을 보낸 다음 복귀해 잔여 임기를 수행하고 내년 6월 정기 전대에서 당권에 재도전할 가능성이 있다.

명예 회복을 노리며 당 대표 선거에 다시 나갈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직무 정지 기간 전국을 유랑 중인 이 대표는 호남·2030 등 자신의 정치적 자산을 무기로 장외 여론전 및 세(勢) 결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李 수사결과 따라 與권력구도 '출렁'…당권경쟁 조기점화 가능성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