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탱크 "중국 올해 전체 부채, GDP의 275%로 역대 최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장률 둔화 영향…큰 리스크 유발 없을 듯"
중국 당국이 신용을 늘리며 경기 부양에 나섬에 따라 올해 중국 정부·기업·가계의 전체 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 보도했다.
정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총부채(정부·기업·가계부채) 비율이 작년보다 11.3%포인트 오른 275%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장샤오징(張曉晶) NFID 실장은 이는 주로 중국 경제 성장률 둔화 때문으로 "그렇게 큰 리스크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의 국가 총부채 비율은 중국 정부의 부채 확대 억제 노력으로 2017년 이후부터 하향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대확산(팬데믹)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부양 정책으로 재차 급등했다.
당시 그 해에만 부채비율이 23.6%포인트나 올랐다.
올해엔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 도시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장기간 봉쇄돼 경제 성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함에 따라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치(5.5%)에 미달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에 경기부양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면서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대신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상 대출을 늘리는 등 신용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최근 분기별 회의를 마치고 발표한 성명에서 부채비율을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문구를 삭제, 이런 정책 주안점의 전환을 강조했다.
장 실장은 "대차대조표를 여전히 확대해야 하고 경제의 부채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게 인민은행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경제 전망이 불확실한 탓에 중국 가계와 기업이 부채 확대에 소극적이어서 이른바 '대차대조표 불황'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일었다.
대차대조표 불황은 가계와 기업이 막대한 채무 부담에 빚을 갚기 시작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한 탓에 소득이 줄고 이는 다시 채무 부담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말한다.
1990년대부터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이라는 장기 불황에 빠졌던 일본이 이런 사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장 실장은 그러나 "가계 부채 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올해 중국의 신용 확대를 낙관했다.
중국 가계 부채 비율은 2016년 40%대로 크게 오른 뒤 2020년 후반기 이후부터 62%가량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신용을 늘리며 경기 부양에 나섬에 따라 올해 중국 정부·기업·가계의 전체 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 보도했다.
정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총부채(정부·기업·가계부채) 비율이 작년보다 11.3%포인트 오른 275%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장샤오징(張曉晶) NFID 실장은 이는 주로 중국 경제 성장률 둔화 때문으로 "그렇게 큰 리스크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의 국가 총부채 비율은 중국 정부의 부채 확대 억제 노력으로 2017년 이후부터 하향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대확산(팬데믹)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부양 정책으로 재차 급등했다.
당시 그 해에만 부채비율이 23.6%포인트나 올랐다.
올해엔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 도시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장기간 봉쇄돼 경제 성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함에 따라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치(5.5%)에 미달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에 경기부양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면서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대신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상 대출을 늘리는 등 신용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최근 분기별 회의를 마치고 발표한 성명에서 부채비율을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문구를 삭제, 이런 정책 주안점의 전환을 강조했다.
장 실장은 "대차대조표를 여전히 확대해야 하고 경제의 부채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게 인민은행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경제 전망이 불확실한 탓에 중국 가계와 기업이 부채 확대에 소극적이어서 이른바 '대차대조표 불황'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일었다.
대차대조표 불황은 가계와 기업이 막대한 채무 부담에 빚을 갚기 시작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한 탓에 소득이 줄고 이는 다시 채무 부담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말한다.
1990년대부터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이라는 장기 불황에 빠졌던 일본이 이런 사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장 실장은 그러나 "가계 부채 비율이 하락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올해 중국의 신용 확대를 낙관했다.
중국 가계 부채 비율은 2016년 40%대로 크게 오른 뒤 2020년 후반기 이후부터 62%가량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