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룰 변경 제안도 "집단지도체제는 계파 나눠먹기"
민주 원외토론회서 "당원은 이재명 출마 찬성…李 책임론 비겁"
더불어민주당 원외 토론회에서 이재명 상임고문의 전당대회 출마에 찬성하는 당원들이 많다는 주장이 나왔다.

선거 패배 책임을 이 고문에게 돌리며 당권 도전을 막아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김준혁 한신대 교수는 21일 민주당 원외지역위원장 협의회 주최 '대통령·지방 선거 평가 토론회'에서 "이재명 고문의 잘못 때문이라는 선거 평가가 많은데 동의할 수 없는 내용"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인사나 부동산 등으로 비롯된 선거 구도에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재명 고문만의 책임으로 돌려선 안 된다는 주장은 계속 이어졌다.

노영희 변호사는 "가장 픈 패인은 내부 분열이다.

경선 후유증 관련해 이낙연 전 대표 쪽에서 성찰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했고 윤종군 안산시위원장은 "모두가 짊어져야 할 짐이며 특정인에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비겁하다"고 말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은 "이재명 고문이나 송영길 전 대표를 지적하는 행태는 일리는 있으나 좋아보이지 않는다"면서 "민심과 민생이 악화된 게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보는 게 맞다"고 했다.

이재명 고문을 비롯해 이낙연 전 대표 측, 당 지도부, 선거 구도 모두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이다.

민주당 초선, 재선 의원 토론회에서는 선거 패배 관련 '이재명 책임론'이 나왔다면 원외에서는 그 반대 의견이 나온 셈이다.

민주 원외토론회서 "당원은 이재명 출마 찬성…李 책임론 비겁"
박시영 윈지코리아컨설팅 대표는 "이재명 대표의 (전당대회) 출마 관련 당원과 지지자는 찬성이 높다"면서 "이재명 고문이 없으면 민주당이 힘을 못 쓴다고 판단하는 분들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에서 '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라는 기존 룰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준혁 교수는 "앞서 정당혁신추진위에서 제안한 '대의원 20%, 권리당원 45%, 일반당원 5%, 국민여론 30%'라는 안을 수용해야 한다"면서 "특정인물 출마를 막거나 당원들의 의견에 반하는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하는 것도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는 "룰을 바꿔야한다.

지금은 국민의힘보다 못하고 후진적"이라며 "집단지도체제도 계파 나눠먹기일 뿐"이라고 평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