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관련 사망 중 10%는 폭염이 원인…"숨어 있는 사회 문제" 경고등
GDP에도 직격타…노동 생산성 떨어지고 농사·축산 피해
폭염은 보이지 않는 적…사망 속출하고 경제 손실도 눈덩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폭염이 생명을 앗아가는 주범일 뿐만 아니라 경제에도 악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목됐다고 AFP 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HO에 따르면 1970∼2019년 기후 문제로 숨진 200만명 중 폭염 사망자는 18만5천명으로 거의 10%를 차지한다.

이중 절반이 최근인 2010∼2019년 목숨을 잃었다.

유럽은 특히 1980∼2022년 기후 관련 사망자 중 폭염이 원인인 비중이 무려 90%에 달했다.

폭염으로 경제 손실도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폭염에 따른 환자와 사망자가 늘고, 농작지 감소 등으로 농업과 건설 현장에서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유럽환경청(EEA)은 1980∼2000년 32개 유럽 국가에서 폭염으로 치른 비용이 270억∼700억 유로(36조∼93조원)라고 추정했다.

프랑스는 폭염을 '보이지 않는 사회적 문제'라고 규정했다.

프랑스에서는 2015∼2020년 폭염에 따른 비용이 220억∼370억 유로로 추정되며, 이는 주로 조기 사망을 포함한 보건 관련 비용으로 나타났다.

폭염은 2003∼2018년 유럽을 강타해 국내총생산(GDP) 0.3∼0.5%를 떨어뜨린 것으로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한 논문은 분석했다.

특히 남유럽에서는 최대 2% 손실을 불러왔다고 이 논문은 덧붙였다.

문제는 앞으로 피해가 더 커진다는 점이다.

만약 지구 온난화 주범인 배출가스를 줄이지 않는다면 2060년까지 폭염에 따른 영향은 1981∼2010년과 비교해 5배 불어날 수 있다고 논문은 내다봤다.

노동계에서도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국제노동기구(ILO)는 기온이 33∼34도로 이어지면 노동 생산성이 절반 정도로 떨어지며, 2030년에는 폭염 때문에 전세계에서 총 노동 시간이 2% 이상 줄어들 것으로 경고했다.

이는 정규직 일자리가 8천만개 사라지는 셈이자, 2조4천억 달러(약 3천조원)의 손실을 불러오는 것이다.

폭염은 농업에도 직격탄이다.

프랑스에서는 2019년 옥수수 농사가 9% 줄었고, 밀은 10% 감소했다.

미국에서는 2012년 폭염으로 옥수수 수확이 13% 줄어들면서 국제 가격 폭등을 불렀다.

폭염은 또 축산과 유제품 생산에도 악재라고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짚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