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제철소 제품 4만5천t 쌓여…여수산단도 제품 반출 못 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 나흘째인 10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여수국가산업단지의 물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화물연대 파업 나흘째…전남 동부권 물류 차질 '심화'(종합)
공장에는 출하를 못 한 제품이 쌓여가고 있으며, 일부 공장은 원재료를 제때 수급하지 못해 생산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에는 지난 7일 화물연대 총파업이 시작된 이후 나흘째 철강 제품 등 4만5천t이 출하되지 못했다.

광양제철소는 국내의 경우 주로 화물트럭으로 육송을 했지만, 파업이 길어짐에 따라 일부 긴급한 물량은 철도와 선박으로 이송하고 있다.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강판을 두 겹으로 쌓는 등 적재 방식을 변경하고 야외 적치장을 늘리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전남지역의 수출입 관문인 광양항도 화물연대의 이송 거부 투쟁에 따라 사실상 물류 이송이 중단됐다.

광양항의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은 평시와 비슷한 61% 수준을 보인다.

광양항에서는 하루 4천34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가 반출됐지만, 파업이 시작된 7일 이후 반출량은 '0'을 기록했다.

이날 오후 냉장 보관이 필요한 농산물 컨테이너 9대(18TEU) 분량이 화물연대의 승인을 받아 긴급 반출됐다.

이는 총파업에 들어간 뒤 첫 반출 사례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화물연대의 파업이 길어질 것에 대비해 여수광양항 불편해소 센터를 개설했다.

운영본부장이 센터를 직접 총괄해 선·화주 동향과 불편 사항을 관련 기관 및 부서와 직접 소통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기로 했다.

석유화학 공장이 밀집한 여수산단도 물류가 쌓이고 있다.

업체들은 화물연대와 협의해 긴급한 물류를 일부 이송하고 있지만, 화물연대가 승인해준 이송 물량이 턱없이 적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석유화학 업종의 특성상 액체나 기체 물질은 곧바로 탱크로리에 옮겨 이송해야 하지만, 운송 중단으로 공장 가동이 멈추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화물연대 여수지부 사무실에는 긴급 이송을 요청하려는 업체 직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경찰은 광양과 여수지역에 400여명을 투입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으나 큰 마찰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여수산단의 업체 관계자는 "제품을 반출하지 못하는 업체도 많지만, 원재료를 받지 못해 제품 생산을 제때 못하고 있는 업체도 엄청나다"며 "공장이 셧다운(가동 중단) 되면, 재가동까지 피해가 클 텐데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