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강압적 대외 기조 지적에 반박
中 "美, 삼성 등에 반도체 자료 요구한 것이 협박외교"
중국 외교부는 지난해 미국이 삼성에 반도체 관련 자료를 요구한 사실을 거론하며 자국 대외정책이 강압적이라는 미국 비판을 반박했다.

자오리젠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달 중국의 대외 정책이 강압적 성향이라고 지적한 데 대한 질문에 이를 반박하는 근거로 이 사례를 지목했다.

그는 "미국이 수단을 가리지 않고 중국 화웨이와 프랑스 알스톰, 일본 도시바 등 기업을 탄압하고 대만 TSMC, 삼성 등 기업에 반도체 공급망 관련 데이터를 제출하라고 압박했는데 이것이 협박 외교 아니냐"고 말했다.

작년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 공급망 현황을 조사하겠다며 한국을 포함한 주요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재고 등 26가지 항목의 정보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것을 문제삼은 것이다.

당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은 민감한 정보를 제외한 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오 대변인은 또 중국과 남태평양 도서국인 솔로몬제도가 4월 안보협력협정을 체결한 뒤 미국이 다른 남태평양 도서국에 당국자를 파견해 견제한 것도 '협박 외교'라고 주장했다.

중국은 최근 블링컨 장관의 지난달 26일 대(對)중국 전략 연설 이후 연일 외교부 브리핑 등을 통해 반박하고 있다.

블링컨 장관은 이 연설에서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주장한 호주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해군 함정에 물대포 발사 등을 거론하며 "이런 행동은 중국이 반대편에 어떻게 보복하는지를 세계에 알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