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 선도융합 기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정부가 산업·의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뇌과학 선도융합기술을 확보하는데 10년간 약 4천500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이런 내용의 '뇌과학 선도융합 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총 4천497억원을 이 사업에 투자한다.

이 사업에는 뇌 기능·질환 시각화 기술, 개인 맞춤형 비침습적 뇌 피질 자극 기술 등 28개 분야 163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연간 6∼10억 원을 최대 6년간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과제는 시장선도형과 미래선점형으로 나뉜다.

시장선도형 과제는 국내 기술 수준이 높고 시장도 형성돼 있지만 실용화 단계까지는 성숙하지 못한 국내 우수 기술을 선별해 뇌산업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래선점형 과제는 시장이 형성되거나 커질 것으로 보이는 유망 분야를 선제적으로 선정해 미래 기술을 선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래선점형 과제 중 일부 유망한 기술은 과제 수행 중 시장선도형으로 전환해 추가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전문가, 의료계, 기술 투자계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성과컨설팅 위원회'를 구성해 연구 결과가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 초기 단계부터 밀착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과기부 "뇌과학 실용기술 확보에 10년간 4천500억 투자"
과기정통부는 국내 뇌과학이 태동기와 확충기를 넘어 세계와 어깨를 견줄 수 있는 도약기로 진입하고 있다면서도, 국내 뇌과학 연구가 국민이 체감하기 어려운 기초연구에 머무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기초연구의 끝단'과 '기술사업화의 앞단'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의 정부 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을 통해 20건 이상의 뇌과학 초격차 선도융합기술을 확보하고 뇌질환 치료제·전자약 전문기업 등이 새롭게 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그간 축적된 뇌연구 성과와 연구 환경을 활용해 국민이 체감하는 실용기술을 확보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