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전남 등 10개 시도 생산연령인구 비중 50% 밑돌아
생산연령인구, 2027년부터 세종 제외 감소 시작
10개 시도 고령인구 비중 40% 넘어…4개 시도는 노인 1명 이상 부양해야
30년 뒤 생산연령인구 35% 줄어…세종 뺀 모든 시도서 감소(종합)
저출생·고령화가 지속되면서 2050년 세종을 제외한 전 시도에서 경제를 지탱하는 생산연령인구가 2020년보다 감소한다.

2050년 전남·전북 등 10개 시도에서는 생산연령인구가 50%를 밑돌게 된다.

반면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전남 등 4개 시도에서는 생산연령인구가 노인 1명 이상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예상됐다.

◇ 생산연령인구, 2027년부터 세종 제외 모든 시도에서 감소 시작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0∼2050년'에 따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3천738만명에서 2050년 2천419만명으로 1천319만명(35.3%) 줄어든다.

이는 기본 가정을 바탕으로 짠 중위 시나리오 기준이다.

시도별로 보면 세종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부터 매년 서울·부산 등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2027년이 되면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선다.

울산은 2020년 85만명에서 2050년 42만명으로 43만명(50.6%) 감소해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대구(-49.0%), 부산(-48.7%) 등의 감소율도 컸다.

반면 세종은 25만명에서 37만명으로 30년간 12만명(48.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울산은 최근 일자리 감소 등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경향이 있어서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며 "세종은 최근 주거 등을 이유로 인구가 유입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인구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구성비로 보면 2020년 72.1%에서 2050년 51.1%로 21.0%포인트 낮아진다.

2050년 생산연령인구 비중을 시도별로 보면 전남(43.4%), 경북(44.0%), 강원(45.2%) 등 10개 시도에서 5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세종(58.0%), 서울(54.7%), 경기(53.8%) 등 7개 시도는 50%대를 유지했다.

전국 25∼49세 주요 생산연령인구로 보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6.8%에서 2050년 23.1%로 13.7%포인트 낮아진다.

시도별로 보면 17개 모든 시도에서 2047년 이후 30% 미만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25~49세 인구 비중은 세종이 40% 이상을, 나머지 16개 시도는 30%대를 유지하고 있다.

30년 뒤 생산연령인구 35% 줄어…세종 뺀 모든 시도서 감소(종합)
◇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 고령인구
고령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815만명에서 증가해 2024년에 1천만명을 넘어선다.

2049년 1천901만명을 정점으로 한 뒤 2050년 1천9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보면 2020년 15.7%에서 2050년 40.1%까지 높아진다.

시도별로 보면 2050년 10개 시도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40%를 넘어선다.

전남(49.5%), 경북(48.9%), 강원(47.2%) 등의 순으로 고령인구 비중이 크다.

출산율이 현 수준을 유지하는 시나리오로 보면 전남은 고령인구가 50.7%로 인구의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2050년 세종(28.8%)은 시도 중 유일하게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30%를 하회한다.

2020년 대비 2050년 증감률로 보면 세종(467.0%), 경기(203.4%), 인천(177.8%) 등 12개 시도에서 고령인구가 2배 이상 증가한다.

85세 이상 초고령인구는 2020년 78만2천명에서 2050년 440만8천명으로 464.0% 급증한다.

시도별로 증감률을 보면 세종(1,022.80%)은 10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633.7%), 경기(602.9%) 등의 증가율도 컸다.

전국 초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5%에서 2050년 9.3%로 7.8%포인트 증가한다.

시도별로는 2050년 경북(12.2%), 전북(11.6%), 전남(11.6%) 등 8개 지역에서 초고령인구 비중이 10%를 넘어선다.

◇ 세종 제외 유소년인구 감소 예상…세종·제주만 유소년인구 비중 10% 넘어
2020년 대비 2050년 0∼14세 유소년인구는 세종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울산(-53.0%), 경남(-49.4%), 전남(-48.9%) 등 8개 시도는 40% 이상 감소한다.

반면 세종은 7만명에서 8만명으로 20.0% 증가한다.

그 결과 2050년 유소년인구 구성비로 보면 세종(13.2%)과 제주(10.1%)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도가 10%를 밑돌게 된다.

2020년 대비 2050년 6∼21세 학령인구로 봐도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세를 보인다.

울산(-53.7%), 전북(-51.6%), 전남(-50.8%) 등 5개 시도는 30년간 50% 이상 감소한다.

같은 기간 세종은 7만명에서 10만명으로 40.1% 증가한다.

전체 학령인구는 2020년 789만명에서 2050년 481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 전남·경북·전북·강원 등은 생산연령인구 1명당 노인 1명 이상 부양해야
일할 사람은 줄고 고령화는 지속되면서 총부양비(15∼64세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 및 고령인구)는 2020년 전국 평균 38.7명에서 2050년 95.8명으로 증가한다.

시도별로 보면 전남(130.4명), 경북(127.2명), 강원(121.2명) 등 10개 시도에서 부양비가 100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대비 2050년 증감률로 보면 울산이 34.7명에서 102.3명으로 194.6%(67.6명) 급증해 시도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노년부양비로 보면 2050년 기준 전남(114.2명), 경북(111.0명), 강원(104.5명), 전북(102.7명) 등 4개 시도에서 100명을 넘어섰다.

생산연령인구 1명당 노인 1명 이상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반면 저출생이 심화하면서 유소년 부양비는 세종 등 10개 시도에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을 기준으로 유소년 부양비는 세종(22.7명), 제주(19.6명) 등이 높았고 서울(15.2명), 경북(16.2명) 등이 낮았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20년 129.3명에서 2050년 456.2명으로 3.5배 늘어난다.

시도별로 보면 2050년 세종(218.6명) 등 모든 시도에서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의 2배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남(701.7명), 경북(685.4명), 강원(624.3명), 전북(605.5명) 등은 6배 이상일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