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셜미디어들이 이용자 위치 정보 공개에 나섰으나 손쉽게 인터넷 주소(IP)를 속일 수 있어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中 소셜미디어, 이용자 위치공개 무용지물…'IP 은폐' 성행
소셜미디어들의 위치 공개가 한 달가량 됐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매일경제 등 현지 언론이 24일 보도했다.

한 누리꾼은 '미국에서 방금 비행기에서 내렸다'는 글을 소셜미디어에 게시했지만, 그의 IP 위치는 중국 내 도시로 표시됐다.

100만여명의 팔로워가 있는 한 왕훙(중국의 인터넷 인플루언서)은 일본 도쿄에 머물며 글을 올렸지만 광둥에 있는 것으로, 유명 칼럼작가 렌악은 "중국을 떠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위치는 일본으로 표시됐다.

IP 대행업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가짜 IP 위치가 표시되기 때문이다.

이 서비스의 일회용 요금은 6위안(약 1천100원)이고, 500위안(약 9만4천원)을 내면 평생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 9위안(약 1천700원)에 이 서비스를 결제했다는 청두상보 기자는 "IP 위치를 베이징이나 광둥 등으로 손쉽게 바꿀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중국 당국은 소셜미디어들의 위치 공개 이후 성행하는 이 서비스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다.

베이징의 한 법률사무소 관계자는 "인터넷 혼란을 부추기는 행위로 명백한 불법"이라며 "서비스 이용자의 접속 기록, 계정 비밀번호 등 신상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 누리꾼은 "'상부에 정책이 있으면 하부에 대책이 있다'는 중국의 속설처럼 인위적으로 여론을 통제하면 빠져나가는 다양한 방법을 찾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와 짧은 동영상 플랫폼 더우인 등 중국 소셜미디어들은 지난달 중순부터 IP 주소에 기반한 이용자 위치를 공개하고 있다.

중국 내 계정은 성·시까지, 해외의 경우 국가까지 위치를 공개하는데 이용자는 이 기능을 차단할 수 없다.

루머나 가짜 뉴스 확산 차단을 명분으로 삼았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 여부를 결정짓는 올해 하반기 20차 당 대회를 앞두고 온라인 여론을 통제하려는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