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유행 빨라진다…"가을 아닌 여름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감소세가 최근 둔화화고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도 증가하면서 재유행 시점이 당초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정부의 진단이 나왔다.
김헌주 질병관리청 차장은 20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격리의무를 유지한다는 전제하에서도 면역감소 효과에 따라 이르면 올여름부터 재유행이 시작해 9∼10월경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초 올 가을·겨울께 코로나19 재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이르면 여름으로 재유행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새로운 예측을 내놓았다.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은 지난 3월 중순 정점을 지난 이후 계속 감소하고는 있으나 최근 감소폭이 둔화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평균 2만∼3만명대 확진자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고, 감염재생산지수는 5월 첫째 주 0.72에서 둘째 주 0.90으로 상승했다.
BA.2.12.1, BA.4, BA.5 등 신규 변이도 지속해서 국내에 유입되고 있다.
정부는 "신규변이는 기존 백신의 효과를 저하하고, 면역 회피 가능성이 있어서 유입 시 재유행 유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한다.
유행을 통제하는 장치로 사용된 사회적 거리두기도 지난달 18일부터 모두 해제됐다.
정부는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계획에 따라 오는 23일부터 확진자 격리의무를 해제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재유행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해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정부는 "격리의무를 해제하면 현재 감소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6∼7월 반등할 수 있다"며 "확진자가 자율격리에 50% 참여하면 1.7배, 격리에 참여하지 않으면 4.5배까지 확진자가 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10개 연구진 중 9개 연구진도 격리의무를 해제하면 유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에 따라 격리를 해제하면 격리를 유지할 때보다 확진자가 적게는 4.6배에서 최대 7.5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당초에 재유행 시점을 가을이나 겨울로 예상을 했던 것은 현재의 격리정책을 포함한 방역정책들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뮬레이션에 따라 면역감소 등이 빨리 진행되면 이르면 여름철부터 재유행이 시작될 수 있고, 면역저하가 늦게 오면 그 이후에 재유행이 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재유행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운 일이라고 정부는 강조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재유행이 언제 될지 예상하기는 전문가들도 쉽지 않다"며 "재유행이 가을철, 겨울철에 될 것이다', '여름철이나 7∼8월에 될 것이다' 등으로 단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김헌주 질병관리청 차장은 20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격리의무를 유지한다는 전제하에서도 면역감소 효과에 따라 이르면 올여름부터 재유행이 시작해 9∼10월경 정점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당초 올 가을·겨울께 코로나19 재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이르면 여름으로 재유행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새로운 예측을 내놓았다.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은 지난 3월 중순 정점을 지난 이후 계속 감소하고는 있으나 최근 감소폭이 둔화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평균 2만∼3만명대 확진자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고, 감염재생산지수는 5월 첫째 주 0.72에서 둘째 주 0.90으로 상승했다.
BA.2.12.1, BA.4, BA.5 등 신규 변이도 지속해서 국내에 유입되고 있다.
정부는 "신규변이는 기존 백신의 효과를 저하하고, 면역 회피 가능성이 있어서 유입 시 재유행 유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한다.
유행을 통제하는 장치로 사용된 사회적 거리두기도 지난달 18일부터 모두 해제됐다.
정부는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계획에 따라 오는 23일부터 확진자 격리의무를 해제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재유행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해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정부는 "격리의무를 해제하면 현재 감소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6∼7월 반등할 수 있다"며 "확진자가 자율격리에 50% 참여하면 1.7배, 격리에 참여하지 않으면 4.5배까지 확진자가 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10개 연구진 중 9개 연구진도 격리의무를 해제하면 유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에 따라 격리를 해제하면 격리를 유지할 때보다 확진자가 적게는 4.6배에서 최대 7.5배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당초에 재유행 시점을 가을이나 겨울로 예상을 했던 것은 현재의 격리정책을 포함한 방역정책들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뮬레이션에 따라 면역감소 등이 빨리 진행되면 이르면 여름철부터 재유행이 시작될 수 있고, 면역저하가 늦게 오면 그 이후에 재유행이 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재유행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운 일이라고 정부는 강조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재유행이 언제 될지 예상하기는 전문가들도 쉽지 않다"며 "재유행이 가을철, 겨울철에 될 것이다', '여름철이나 7∼8월에 될 것이다' 등으로 단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