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당선인 '총리없이' 출범 예고…장관들도 대거 공석 예정
文정부 초대 이낙연 전 총리도 출범 21일 뒤 임명
새 정부 '반쪽' 오래가나…JP는 여소야대에 6개월 만에 인준(종합)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준이 험로를 예고하면서 출범이 나흘 앞으로 다가온 윤석열 정부의 '반쪽 내각' 상태도 길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민주당 거대의석에 가로막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6일 한 후보자의 총리 인준이 불발되면 '총리 없이' 새 정부 내각을 출범하기로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국무총리의 경우 의회의 동의 없이 임명할 수 있는 장관들과 달리 국회의원 재적 과반 출석, 출석 의원의 과반 찬성이라는 엄격한 표결 절차를 거쳐야 한다.

결국 민주당이 당 차원에서 조직적인 반대에 나선다면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통과는 요연한 셈이다.

설상가상으로 민주당 측은 한 후보자 인준을 다른 장관 후보자 인준과 연계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민주당 내에서는 한 후보자 인준 문제를 지렛대로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와 연결하는 이른바 '연계전략'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이처럼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극한대치 속에 총리 자리를 비워두고 윤석열 호(號)가 출범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10일 정부가 닻을 올리고서도 이같은 샅바싸움은 쉽게 해소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도 공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윤 당선인 측과 국민의힘도 물러나지 않겠다는 뜻을 확고히 보이고 있어서다.

실제로 현재 총리 후보자를 포함해 18개 부처 장관 후보자 등 전체 19명 후보자 가운데 청문보고서가 채택된 것은 불과 4명으로 초반 행정공백 사태가 예상되고 있지만, 윤 당선인 측은 차관을 중심으로 국정운영을 검토하겠다는 '맞불' 스탠스를 보이는 등 교착상태가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총리 공석의 경우 윤 당선인 측은 '추경호 총리 권한대행 체제'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실제로 김부겸 국무총리가 새 정부 첫 국무회의가 열리는 17일 이전 사퇴할 가능성이 큰 가운데, 윤 당선인 측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를 권한대행으로 세워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플랜B'까지 검토하는 상황이다.

추 후보자는 현재 국회가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합의 채택한 상태다.

당장 오는 13일 열리는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누가 주재할지도 정해지지 않았다.

김 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 마지막으로 참석한다고 공언했다.

국무총리가 없으면 중대본 1차장인 보건복지부 장관, 2차장인 행정안전부 장관이 번갈아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게 돼 있지만, 민주당 출신인 전해철 행안부 장관도 사의를 표한 상태다.

추 후보자 제청·임명, 김 총리 사임과 권한대행 체제 전환이 이른 시일에 이뤄진다면 추 후보자가 총리 대행으로 회의를 주재할 수도 있다.

역대 정부에서도 초대 총리 인준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치열한 기 싸움이 벌어지며 총리가 공백 상태로 정부가 출범하는 일들이 반복됐다.

정치권에서는 그때마다 '반쪽 출범'이라는 비판이 쏟아졌지만, 국회의 인준 동의 문턱을 넘어서기가 그만큼 쉽지 않았던 것이다.

새 정부 '반쪽' 오래가나…JP는 여소야대에 6개월 만에 인준(종합)
대표적으로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발판으로 헌정사상 첫 수평적 정권교체에 성공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만해도 상당 기간 총리가 없이 정부를 꾸려야 했다.

김 전 대통령은 1998년 2월 23일 김종필(JP) 전 자민련 명예총재를 총리 후보자로 지명했으나 당시 다수당이면서 야당이던 한나라당이 김 후보자의 도덕성, 5·16 쿠데타 가담전력 등을 들어 인준을 반대했다.

결국 김 전 대통령은 정부 출범일인 1998년 2월 25일 이후 엿새가 지난 3월 3일, 이전 정부의 마지막 총리였던 고건 총리의 제청을 받아 17개 부처 장관을 임명하고 김종필 총리 서리 체제로 내각을 가동했다.

김 전 총리 인준안은 정부 출범 6개월이 지난 8월 17일에야 국회를 통과했다.

노무현 정부 때와 이명박 정부 때는 공백이 길지 않았다.

노무현 정부 당시 첫 총리로는 2003년 1월 22일 고건 전 총리가 지명됐으며, 35일 뒤인 2월 26일 국회 인준을 받았다.

참여정부 출범 이튿날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새 정부 출범을 28일 앞둔 2008년 1월 28일 한승수 전 총리를 후보자로 지명했다.

당시에도 야당인 민주당은 부동산 투기와 위장전입 의혹 등을 이유로 임명동의안 처리를 거부했고, 한 전 총리의 임명동의안은 정부 출범 나흘 뒤인 2월 29일 통과했다.

문재인 정부 때는 이보다는 공백이 길었다.

초대 총리인 이낙연 전 총리는 위장전입 의혹 등을 이유로 야당이 반대해 정부 출범 21일이 지나서야 인준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