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동 설비 증가에 따른 전력 과잉 생산에 출력제한 잇따라
한전 "90㎿급 에너지저장장치 가동·역송전 재개하겠다"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가 태양광 발전 시설 출력제한에 대한 대책을 제시했지만, 민간 사업자들은 구체적인 손실보상안부터 마련하라면서 거세게 반발했다.

제주 태양광발전소 가동 중단 계속…민간사업자 "손실 보상하라"
한국전력과 전력거래소·제주도는 4일 오후 제주도농어업인회관에서 설명회를 열어 제주지역 태양광발전소의 출력제한이 필요한 이유와 이에 대한 대책을 밝혔다.

한전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제주에서 가동 중인 태양광발전소 전체 설비용량은 2012년 2.8㎿에서 2022년 2월 491.8㎿로 175배 이상 늘었다.

이처럼 설비 용량이 가파르게 증가한 이유는 박근혜 정부에 이어 문재인 정부까지 국가 차원으로 태양광 발전 보급사업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당초 제주는 풍력이 중심인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추진됐지만, 이 과정에서 태양광 발전 설비가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너도나도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했다.

문제는 늘어난 태양광 발전 설비만큼 초과 공급되는 전력량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전력망에 초과 생산된 전기를 그대로 흘려보내면 과부하가 발생하고 심하면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전은 재생에너지 공급이 급증하면 대규모 발전기 출력을 낮추고 이어 풍력과 폐기물발전, 태양광 순으로 출력을 제한한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요즘같이 볕이 좋은 날에는 대규모 발전기 출력을 최대한으로 낮추고 전체 풍력발전소에 대해 출력제한 조처를 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제주에서 하루 소비되는 전력 중 70%는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나머지 30%는 대규모 발전 설비에서 공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본부장은 "특히 태양광 설비는 저전압 동안 견디는 힘이 약한 탓에 대규모 발전 설비 운용이 필수적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송전선로에 나뭇가지가 부딪치거나 크레인 작업 중 배전선로를 건들면 선이 끊어지거나 합선이 일어나고, 전압이 떨어진다.

이때 태양광은 전압이 갑자기 떨어진 충격을 그대로 흡수해 고장이 날 가능성이 크다.

시동이 멈춘 대규모 발전 설비를 다시 가동하는 데는 1시간가량이 소요된다.

한전과 전력거래소는 이날 이러한 출력제한에 대한 대책으로 오늘 6월부터 총 90㎿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또 태양광을 전기로 바꿔주는 장치인 인버터 성능 개선 사업을 추진해 전기를 육지로 보내는 역송전 작업을 재개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그러면서 개별 발전 사업자 출력 제한량 감소를 위해 출력제어 대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사업자 간 고통 분담을 요청했다.

하지만 설명회에 참석한 민간 태양광발전 사업자들은 구체적인 손실 보상안을 요구하며 거세게 반발했다.

곽영주 대한태양광발전사업자협의회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사업자들은 전력 차단 손실 보상안에 대해 기대를 하고 왔는데 관련 내용은 전혀 없다"며 "한국전력의 송·배전관리 잘못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사업자가 보고 있는데 정부와 제주도는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인가"라고 성토했다.

곽 회장은 그러면서 "도내 신재생에너지 잉여전력에 따른 대응책과 보상대책 필요성은 이미 수년 전부터 제기돼왔다"며 "발전사업자를 도산으로 몰고 가는 행정은 하루빨리 손실보상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dragon.

/연합뉴스